제목 [산업분석] 구리산업 분석 및 철강,비철금속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40
용량 4.65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구리산업 분석 및 철강,비철금속 분석.pdf 4.6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5-28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56 

[Part I. 구리와 기업의 수익구조]


고려아연이 비철금속 기업들 중 구리의 높은 가격 및 변동성의 수혜를 가장 오랫동안 향유할 수 있는 기업으로 판단합니다. 고려아연은 구리를 아연정광/스크랩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광산기업에 지불하는 Payable이 낮습니다. 따라서 구리는 제련수수료만으로 이익원이 한정되는 것이 아닌 가격 상승과 함께 매출/이익/이익률이 함께 증가하는 요인이 됩니다. 반면 구리를 원재료로 하는 기업들은 구리 상승 구간에서는 판가-원가 시차 및 재고평가이익이 주로 발생합니다. 구리가격이 높은 상태에서 머무르거나 변동성이 클 때는 원재료 헷지전략에 따라 이익이 상쇄될 가능성이 큽니다.


[Part II. 천연가스와 철강금속]


구리 랠리가 시작된 전력 수요에서, 조금 더 확장시키면 최근 천연가스의 가격 회복세가 보입니다.
시장에서 2024년 단기적으로는 수급 및 이상 기후에 따른 천연가스 가격 회복세, 2025년 이후에는 공급능력 급증에 따른 가격 안정세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먼저, 천연가스 가격 상승은 글로벌 아연 제련 기업의 가동률 및 아연의 단기적 공급 상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견조한 아연 가격 지속을 기대합니다.
장기적으로, 2025년 이후 천연가스 프로젝트 급증과 함께 에너지용 강관 가격의 회복을 기대합니다. 이에 대한 영향으로 내년까지는 아연 관련 기업(고려아연), 장기적으로는 강관 기업(세아제강지주)의 수혜를 전망합니다.


[Part III. 투자전략]


철강금속 업종 투자의견 Overweight을 제시하며, 비철금속을 철강 대비 선호합니다. 최근 구리 관련 종목 상승세에 따라, 수혜를 지속적으로 누릴 기업을 수익구조 분석을 통해 선별이 필요합니다. Top Pick 고려아연 제시합니다.
전력에 대한 관심에서 새로운 모멘텀으로 천연가스를 주목합니다. 관련 인프라들이 2025년 이후 급증하며 강관의 수요 성장을 기대합니다. 관심종목으로는 세아제강지주를 제시합니다.


[Part IV. 기업분석]


업종 내 최선호주로 고려아연을 제시합니다.
금속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 추정치 상승세 이어졌고, 구리&아연 가격 상승세 수혜 지속을 기대합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소수커버 종목으로 세아제강지주도 담았습니다.
2025년 LNG 공급 인프라 급증에 따른 강관 가격 회복, 세아윈드의 매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

 

 

 

구리산업.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6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바이오경제를 위한 노력 5도토리 장민환
86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엔 플라스틱 협약의 주요쟁점 분석 및 대응방향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867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2차 공모 3도토리 장민환
867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한국-걸프협력회의(GCC) FTA 타결에 따른 수출 유망 품목 및 협력 기회 13도토리 노민우
8675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튀르키예의 임플란트 시장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에너지 절약과 탄소 감축 계획 5도토리 노민우
8673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시약 시장동향 3도토리 노민우
8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 분야 - 테슬라의 배터리 내재화 속내 들여다보기 5도토리 노민우
8671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3분기 이후 반도체 산업 및 시장 전망 5도토리 노민우
8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더 나은 사회를 여는 디지털 혁신 7도토리 노민우
86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트렌드에 발맞춰 뜨고 있는 호주의 로봇산업 7도토리 노민우
866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의 가상현실 활용 분야 확대 3도토리 노민우
866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산업의 인력수급 불일치 요인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6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수급 기본계획(인공지능과 원자력) 5도토리 노민우
8665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중국의 기능성 식품 시장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66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의 리소그래피 기계 시장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66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제약 바이오 전망 - 진정한 모멘텀을 찾아서 13도토리 노민우
86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올 한 해 결실을 맺는 인터넷게임 분야 무료 노민우
8661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식량정책 개선방안 연구 13도토리 국준아
8660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구 변화에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정책 방향 9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