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한상윤 | 조회수 | 41 | |
---|---|---|---|---|---|---|
용량 | 4.16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pdf | 4.1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4-05-27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77 |
[서론]
기대인플레이션은 어떻게 형성될까? 생산량이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급격한 자산가격 상승은 부(wealth)의 효과를 통해 지속적인 수요 증가 압력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또는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인플레이션 전파 경로로서 자산시장의 역할을 분석한다. 특히 토지를 중심으로 한 부동산 자산시장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토지는 대한민국 순국부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자산인 동시에, 마치 노동처럼 경제활동에 필수적인 재화이지만 공급이 비탄력적인 생산요소이기 때문이다.
수요와 인플레이션을 연결하는 필립스곡선의 핵심 아이디어에는 노동공급의 비탄력성이 자리 잡고 있다. 총수요가 확대되는 경기 확장기 때, 노동의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인구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수준에서 단기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노동과 상품의 공급이 수요만큼 충분히 탄력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그 결과 임금과 상품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한 논리로 경기 확장기 때,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부동산 공급은 단기적으로 비탄력적(특히 토지는 장기적으로도 공급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총수요의 증가는 자산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경제의 총생산량(공급) 대비 부동산 자산 가치(수요)가 더 크게 상승할 경우, 가계가 인지하는 가계의 순부(net wealth) 또는 현재가치로 환산한 가계의 항상소득이 증가하여 소비 수요가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로든 부동산 자산시장에 수요 압력이 반영될 경우, 부동산 자산의 공급이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다면, 부동산 자산의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과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토지의 상대가격이 증가할때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기존에 널리 활용되던 기대인플레이션 지표와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 플레이션 지표를 비교하여,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인플레이션 동학에 유의미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하고, 간단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경쟁적인 자산시장에서 토지의 상대가격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어떤 정책적 시사점을 갖는지를 검토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와 후속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