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112
용량 4.16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pdf 4.1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5-2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77 

[서론]

 

기대인플레이션은 어떻게 형성될까? 생산량이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급격한 자산가격 상승은 부(wealth)의 효과를 통해 지속적인 수요 증가 압력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또는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인플레이션 전파 경로로서 자산시장의 역할을 분석한다. 특히 토지를 중심으로 한 부동산 자산시장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토지는 대한민국 순국부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자산인 동시에, 마치 노동처럼 경제활동에 필수적인 재화이지만 공급이 비탄력적인 생산요소이기 때문이다.


수요와 인플레이션을 연결하는 필립스곡선의 핵심 아이디어에는 노동공급의 비탄력성이 자리 잡고 있다. 총수요가 확대되는 경기 확장기 때, 노동의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인구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수준에서 단기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노동과 상품의 공급이 수요만큼 충분히 탄력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그 결과 임금과 상품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한 논리로 경기 확장기 때,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부동산 공급은 단기적으로 비탄력적(특히 토지는 장기적으로도 공급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총수요의 증가는 자산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경제의 총생산량(공급) 대비 부동산 자산 가치(수요)가 더 크게 상승할 경우, 가계가 인지하는 가계의 순부(net wealth) 또는 현재가치로 환산한 가계의 항상소득이 증가하여 소비 수요가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로든 부동산 자산시장에 수요 압력이 반영될 경우, 부동산 자산의 공급이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다면, 부동산 자산의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과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토지의 상대가격이 증가할때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기존에 널리 활용되던 기대인플레이션 지표와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 플레이션 지표를 비교하여,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인플레이션 동학에 유의미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하고, 간단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경쟁적인 자산시장에서 토지의 상대가격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어떤 정책적 시사점을 갖는지를 검토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와 후속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

 

 

 

부동산 자산시장.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 윤리 - 인간과 인공지능의 조화로운 공존 방안 5도토리 장민환
735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바이오경제를 위한 노력 5도토리 장민환
735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엔 플라스틱 협약의 주요쟁점 분석 및 대응방향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735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한국-걸프협력회의(GCC) FTA 타결에 따른 수출 유망 품목 및 협력 기회 13도토리 노민우
7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에너지 절약과 탄소 감축 계획 5도토리 노민우
73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 분야 - 테슬라의 배터리 내재화 속내 들여다보기 5도토리 노민우
7354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3분기 이후 반도체 산업 및 시장 전망 5도토리 노민우
73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더 나은 사회를 여는 디지털 혁신 7도토리 노민우
7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의 가상현실 활용 분야 확대 3도토리 노민우
7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수급 기본계획(인공지능과 원자력) 5도토리 노민우
735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제약 바이오 전망 - 진정한 모멘텀을 찾아서 13도토리 노민우
73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올 한 해 결실을 맺는 인터넷게임 분야 7도토리 노민우
7348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식량정책 개선방안 연구 13도토리 국준아
734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구 변화에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정책 방향 9도토리 국준아
73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OECD [변혁적 과학기술 혁신 정책 아젠다]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5도토리 국준아
73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13도토리 국준아
73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 - 기약이 없는 희망 고문 7도토리 국준아
7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극,음극 소재와 원료에 대한 공급망 이슈 5도토리 국준아
7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흥국의 재생에너지 산업 13도토리 국준아
73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내 경량금속소재 기술개발 동향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