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99
용량 4.16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pdf 4.1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5-2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77 

[서론]

 

기대인플레이션은 어떻게 형성될까? 생산량이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급격한 자산가격 상승은 부(wealth)의 효과를 통해 지속적인 수요 증가 압력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또는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인플레이션 전파 경로로서 자산시장의 역할을 분석한다. 특히 토지를 중심으로 한 부동산 자산시장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토지는 대한민국 순국부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자산인 동시에, 마치 노동처럼 경제활동에 필수적인 재화이지만 공급이 비탄력적인 생산요소이기 때문이다.


수요와 인플레이션을 연결하는 필립스곡선의 핵심 아이디어에는 노동공급의 비탄력성이 자리 잡고 있다. 총수요가 확대되는 경기 확장기 때, 노동의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인구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수준에서 단기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노동과 상품의 공급이 수요만큼 충분히 탄력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그 결과 임금과 상품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한 논리로 경기 확장기 때,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부동산 공급은 단기적으로 비탄력적(특히 토지는 장기적으로도 공급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총수요의 증가는 자산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경제의 총생산량(공급) 대비 부동산 자산 가치(수요)가 더 크게 상승할 경우, 가계가 인지하는 가계의 순부(net wealth) 또는 현재가치로 환산한 가계의 항상소득이 증가하여 소비 수요가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로든 부동산 자산시장에 수요 압력이 반영될 경우, 부동산 자산의 공급이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다면, 부동산 자산의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과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토지의 상대가격이 증가할때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기존에 널리 활용되던 기대인플레이션 지표와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 플레이션 지표를 비교하여,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인플레이션 동학에 유의미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하고, 간단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경쟁적인 자산시장에서 토지의 상대가격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어떤 정책적 시사점을 갖는지를 검토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와 후속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

 

 

 

부동산 자산시장.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3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극한성능 접착제의 기술현황 및 시장전망 7도토리 전아람
73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짐펜트라 - 염증성 장질환 치료의 새로운 기준 9도토리 전아람
7337 성장동력산업 [시장전망] K-방위산업 신드롬의 지속가능성 전망 9도토리 전아람
7336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온디바이스AI 산업 및 시장전망 5도토리 전아람
7335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하반기 철강, 비철금속 산업전망 5도토리 전아람
7334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지주회사 전망, 2024년 하반기가 기다려지는 이유 5도토리 한상윤
7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둘다 잘하는 기업 5도토리 한상윤
7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 고대역폭메모리(HBM)과 Commodity의 상호작 5도토리 한상윤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 인플레이션 결정요인 분석 13도토리 한상윤
7330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국내 무탄소 신전원 도입에 따른 단계별 전력시장 운용방안 연구 13도토리 한상윤
7329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2024년 아프리카 대륙 산업 데이터북 13도토리 한상윤
7328 성장동력산업 [시장전망] 2024년 하반기 자동차, 부품 관련 투자전망 11도토리 한상윤
73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POM-C 반덤핑 조사 착수 5도토리 한상윤
732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탄소중립시대 튀르키예의 에너지 기술 로드맵 및 기회요인 7도토리 한상윤
7325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농립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2021-2023) 13도토리 최민기
73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나트륨이온배터리 산업 및 기술 분석 13도토리 최민기
73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가구의 에너지소비 변화 분석 13도토리 최민기
7322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AI 기반 갈등관리DB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13도토리 최민기
732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산업용 로봇의 활용 증가에 따른 인력 양성 방안(20241Q) 7도토리 최민기
732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차전지 - 초격차형 차세대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재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 개발 5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