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 하반기 글로벌 주식 시장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8
용량 1.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년 하반기 글로벌 주식 시장 전망.pdf 1.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21년 하반기 글로벌 주식시장 전망 2021. 6. 23 Issue Analysis 이은재ㅣ 책임연구원 (3705-6226) 최성락ㅣ자본유출입부장 (3705-6213)  [현황] 올해 상반기 주요국 증시는 지난해와 다르게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업이익 성장 모멘텀이 주가 상승세를 견인  지난해는 무위험이자율(할인율) 하락이 주가 강세를 견인한 반면, 올해 상반기는 무위험 이자율이 상승했으나 실적전망 개선과 주식위험프리미엄 하락이 주가 상승에 기여  [전망] 올해 하반기에도 기업이익 개선세가 지속되나, 금리 상승에 따른 밸류에이션 하락으로 주가 상승폭은 제한될 것이라는 시각이 중론. 성장주 비중이 높은 미국보다 유럽, 신흥국 증시를 선호하는 의견이 증가  기업이익 전망 : 예상보다 양호한 1분기 실적 발표, 긍정적 가이던스 제시 등으로 실적 전망의 추가 상승 여력이 존재하나, 개선 모멘텀은 하반기 중 둔화할 전망  밸류에이션 하방압력 : 현재 밸류에이션은 과거 평균보다 크게 높으며 ▲인플레∙금리 상승 ▲유동성 축소 ▲미 자본이득세 부과 이슈 등으로 밸류에이션 하방 압력이 점증  [위험요인] ▲투자자 수익추구 심화(레버리지 상승, 테마형 ETF 급증, 가상자산과의 접점 증가) ▲정책 리스크 고조(통화정책 정상화, 증세 및 빅테크 규제) 등  레버리지 상승 : 코로나 이후 레버리지 투자도 확대. 올해 아케고스, Gamestop 사태 등은 시장 레버리지가 상당한 수준이며 시장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  ETF 확대와 유동성 이슈 : 투자자 틈새 수요를 공략하기 위한 테마형 ETF가 고속 성장. ETF의 중소형주 투자도 활발해지면서 개별주식 보유지분 상승 및 유동성 우려도 지속  가상자산 접점 증가 : 향후 사용가치를 중심으로 가상자산 산업 개편이 이뤄질 것이며 제도권 시장과의 연계성이 증가하고 시장 변동성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  인플레와 통화정책 정상화 : 하반기 연준은 시장과의 테이퍼링 커뮤니케이션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하며 `13년 탠트럼과 같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  미 세율 인상 : 법인세, 자본이득세 등 법안 통과를 앞두고 증세폭 등 결정에 관심  [평가] 글로벌 증시는 백신 보급과 경제 정상화 기대가 촉발한 실적 장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연말로 갈수록 실적 개선의 주가 영향력이 약화하고 높은 증시 밸류에이션 부담 하에서 인플레 상승, 테이퍼링 논의, 증세 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 KCIF 2 Issue Analysis  [현황] 올해 상반기 주요국 증시는 지난해와 다르게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업이익 성장 모멘텀이 주가 상승세를 견인1 * 아래는 미국 주가를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기반으로 설명. NYU 다모다란 교수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수치 재추정  `20년 : 경제 봉쇄에 따른 기업이익 전망 하락에도 불구하고 무위험이자율 하락(- 0.99%p)에 따른 할인율 감소(-1.47%p)가 주가 강세(+16.3%)를 견인 – 할인율 : 코로나발 패닉 이후 Fed의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미 금리는 `19년말 1.92% → `20년말 0.93%으로 큰 폭 하락(-0.99%p). ERP(주식위험프리미엄)도 정책지원에 따른 투자자 안도로 하락(-0.48%p)하면서 할인율이 7.12% → 5.65 %로 하락 – 현금흐름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침체 여파로 향후 5년 평균 현금흐름이 7.5% 감소  `21년 상반기 : 무위험이자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실적전망 개선과 ERP 하락이 주가 상승에 기여 – 주가 : 올들어 S&P500 지수는 12.5% 상승 – 할인율 : 동기간 미 10년물 금리는 경기회복 기대, 국채수급 이슈 등으로 0.55%p 상승했으나, ERP가 0.48%p 하락하면서 전체 할인율은 0.07%p 상승 – 현금흐름 : 연초 이후 빠른 백신 보급과 경제 정상화 기대로 기업실적 개선이 지속. 향후 5년 평균 현금흐름 및 영구 현금흐름 전망치는 각각 15.1%, 8.2% 상승 • S&P 500 기업의 12개월 EPS 전망치도 연초 이후 현재까지 약 19% 상승(I/B/E/S) `20~21년미증시무위험이자율(Rf),ERP, 실적추이 항목/ 시점 S&P500 Rf (10년) (①) ERP(②) 할인율(①+②) 연평균현금흐름($) 향후5년평균 Terminal `19.12월말 3,230.8 1.92% 5.20% 7.12% 183.4 201.7 `20.12월말 3,756.1 0.93% 4.72% 5.65% 169.7 205.9 `21년현재(6/21일) 4,224.8 1.48% 4.24% 5.71% 195.3 222.8 등락폭 `20년 +16.3% -0.99%p -0.48%p -1.47%p -7.5% +2.1% `21년 +12.5% +0.55%p -0.48%p +0.07%p +15.1% +8.2%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68 성장동력산업 삼성전기 2022년 성장은 유효, 1Q 기대 이상 1도토리 조정희
1367 성장동력산업 현대건설 4Q21 Review: 탑라인 성장을 향해 1도토리 조정희
1366 성장동력산업 현대백화점 오미크론 변이 영향 1도토리 조정희
1365 성장동력산업 효성첨단소재 대선 이후 기대되는 수소 관련주 1도토리 조정희
1364 성장동력산업 효성티앤씨 4분기, 컨센 대비 하회하는 실적 기록 1도토리 조정희
1363 성장동력산업 삼성전기 짧게 보면 싸이클, 길게 보면 성장 1도토리 조정희
1362 성장동력산업 효성화학 4분기, 컨센서스 하회하는 실적 기록 1도토리 조정희
1361 성장동력산업 기아 묵직한 ASP 상승 트렌드의 지속 1도토리 조정희
1360 성장동력산업 LG디스플레이 숨고르기 구간 진입 1도토리 조정희
1359 성장동력산업 [HI Economy] 미 연준, 금융시장보다 실물경제(=물가)에 초점 1도토리 조정희
1358 성장동력산업 LG이노텍 2분기부터 이익 성장세 기대 1도토리 조정희
1357 성장동력산업 LG이노텍 22년 최고 실적 경신, 1Q 실적은 좋다 1도토리 조정희
1356 성장동력산업 효성중공업 호실적 달성, 2022년 성장 본격화 1도토리 조정희
1355 성장동력산업 기아 공격적 가이던스와 높아진 배당, 자신감의 표현 1도토리 조정희
1354 성장동력산업 현대글로비스 2022년에도 성장 지속 1도토리 조정희
1353 성장동력산업 대웅제약 수익성 개선은 지속된다 1도토리 조정희
1352 성장동력산업 삼성전기 MLCC가 돌아선다 1도토리 조정희
1351 성장동력산업 KIWOOM FICC DAILY 2022.1. 27 1도토리 조정희
1350 성장동력산업 포스코인터내셔널 22년 에너지 사업부 이익 성장에 주목 1도토리 조정희
1349 성장동력산업 포스코케미칼 음극재 부진과 일회성 비용으로 예상 하회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