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2024년 EU의 ESG 정책과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37
용량 4.57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2024년 EU ESG 정책과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동향.pdf 4.5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5-1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72 

요 약


제1장 EU ESG 정책 동향


1. EU ESG 정책 흐름
글로벌 기후 위기에 인식 고조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15년 파리협정 및 UN의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통해 글로벌 온도 상승을 2°C 미만으로 제한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 중.
특히, EU는 ’18년 지속 가능한 금융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ESG 기준을 정립 및 법적 조치를 채택하여 글로벌 지속가능성 행동을 선도. 이러한 조치는 유럽 그린딜, EU 통합 분류 체계(Taxonomy Regulation), 지속 가능한 금융 공시 규정 등을 포함하며, 기업과 투자자가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


2. EU 新통상전략
EU는 새로운 통상 전략 테마인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OSA)을 추구. 그린 및 디지털 목표를 통해 경제와 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세계화를 위한 글로벌 규칙 형성을 지향. 이를 위해 ’21년 'Fit for 55' 패키지를 발표하여 2050년까지의 기후 중립 달성 로드맵을 제시하고, 다양한 법안과 조치를 포함. 순환경제실행계획(CEAP)을 통해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며, EU 통합 분류 체계(Taxonomy Regulation)를 마련하여 환경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투자의 기준을 제시


제 2장 EU 에코디자인 및 디지털제품여권 규정 동향


1. EU 에코디자인규정 추진 경과와 디지털제품여권(DPP)으로의 발전
EU 집행위는 ‘22.3월에 에코디자인 지침을 규정으로 강화하는 것을 제안, 이 규정은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내구성, 재사용성, 업그레이드 가능성 등의 지속가능성 요건을 명시. 에코디자인규정은 DPP도입을 포함하는데, ’24.4월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되었음. 모든 물리적 품목에 적용되어 환경적 영향을 줄이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촉진. 또한, 이 규정은 순환경제 실행 계획과 연결되어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EU의 전략적 독립을 지원하며 국제 기준을 설정하는 데 기여


2. EU 디지털제품여권(DPP) 추진 동향
EU는 에코디자인 규정 내에서 모든 물리적 제품에 대한 지속가능성 요건을 부과, DPP를 도입하여 제품의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공개하도록 함. 이 규정은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며, 제품의 재활용 원재료 비율, 환경발자국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정보를 포함. 또한, EU는 배터리 규정 내에서 디지털 배터리 여권(DBP)을 도입하여 ‘27년부터 전기차 및 산업용 배터리의 전 생애주기 정보를 QR코드 형식으로 제공할 예정. 이러한 조치들은 EU의 환경 및 지속 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법적 행동을 포함.

 

 

 

----------------------------------------------------------------------------------------------------------------------------------------------------

 

 

 

이에스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55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극저온냉동기술 기술개발 동향 5도토리 오민아
85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콘텐츠 산업 및 시장 분석 7도토리 류지원
854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태국의 치약 시장 3도토리 류지원
85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동향 및 국내 수입 동향 3도토리 류지원
854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 -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세계적 흐름 5도토리 류지원
85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의 폭염과 대기오염에 기회를 보는 냉난방공조 3도토리 류지원
854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도쿄일렉트론의 극저온 식각 장비 기술 5도토리 류지원
85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2년,'23년 파라과이 KSP정책자문보고서 13도토리 류지원
85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2년,'23년 쿠바 KSP정책자문보고서 13도토리 류지원
85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2년,'23년 볼리비아 KSP 정책자문보고서 13도토리 류지원
8541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외국인 투자 옴부즈만 연차 보고서 13도토리 류지원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EU의 ESG 정책과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동향 13도토리 류지원
853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원료에 주목하는 중국 화장품 산업의 신성장동력 3도토리 박민혁
853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회복세로 돌아서는 아르헨티나 윤활유 시장 3도토리 박민혁
85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멕시코 미용의료기기 시장 3도토리 박민혁
85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미국・일본 정상회담 분석 5도토리 박민혁
85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자동차산업 동향 3도토리 박민혁
85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UAE 전력산업 동향 3도토리 박민혁
85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UAE 건설산업 동향 3도토리 박민혁
85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산업기술수준조사 결과보고서 1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