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메타버스 르네상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68
용량 1.7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메타버스 르네상스.pdf 1.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26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32 

1. 개요

 가. 정의 및 개념

 나. 메타버스의 재발견

 

2. 산업 분석
 가. 산업구조
 나. 칩·디바이스
 다. 공간 컴퓨팅
 라. 서비스 플랫폼

 

3. 국내외 정책 동향

 가. 영국

 나. 미국

 다. EU

 라. 중국

 마. 대한민국

 바. 국제기구

 

4. 결론 및 시사점

 


 

□ 오래된 기술 ‘메타버스’의 화려한 부활, 디지털 전환의 핵심 ㅇ ‘92년에 처음으로 등장한 ‘메타버스(가상세계)’ 개념이 사회·문화·기술·경제적 요인에 따라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핵심·범용기술로 주목받기 시작 ㅇ ‘메타버스’는 XR·홀로그램, 블록체인·NFT 등을 활용하여 기존과 완벽히 다른 사회·경제적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용자 스스로 자신의 세계관을 창조(룰 메이커)하는 환경까지 구현, 현실-가상을 이질감 없이 연계하는 웹 3.0으로 부상 □ 혁신기반(D·N·A), SW·HW를 총망라하는 디지털 범용 생태계 ㅇ ‘메타버스’ 플랫폼 구현을 위해서는 공간 컴퓨팅(XR, 홀로그램, 물리엔진), 콘텐츠 같은 SW, 칩, 디바이스(헤드셋) 등 HW 기술이 종합됨에 따라 ‘메타버스’ 성장이 디지털 산업 전반의 성장에 직결되는 상황으로 전개 ㅇ 로블록스(Roblox), 제페토 등 YZ 세대를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시작으로 최근 에는 NVIDIA Omniverse(개발자 공동작업), Microsoft Mesh(업무 협업) 등 다양한 산업에 메타버스가 적용되는 사례가 등장하기 시작 □ 韓·英 등 국가 단위 산업·경제 포괄 발전전략으로 메타버스 정책 추진 ㅇ (육성) 미국, EU는 연구과제에 대한 예산 편성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육성을 지원 하며, 지자체 운영 연구 센터, XR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산업 생태계 조성 중 ㅇ (규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집될 가능성이 높은 이용자 데이터(얼굴정보, 구매기록, 행동패턴 등)에 대한 타 서비스 연계 활용 및 프라이버시 이슈 등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주요국들은 관련 법·제도 기반 마련 중 □ 신속한 확산, 안정적 정착을 위한 경쟁력 확보, 제도 정비 필요 ㅇ (산업/기술) ‘메타버스’ 발전 양상 및 활용 목적 등을 고려한 R&D 투자 및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 유관 기업 간 협력 강화, 나아가 국내 기술을 통해 ‘메타버스’ 관련 국제표준을 주도할 수 있도록 독려 필요 ㅇ (제도/윤리) ‘메타버스’ 內 경제 활동(블록체인, NFT), 프라이버시(사용자 특정정보 수집·활용) 등 기존 법·제도로 대응할 수 없는 영역의 이슈를 사전에 발굴하고, 나아가 사회·문화, 윤리적 문제 대응을 통해 디지털 가상경제 조기 정착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 성장동력산업 내년부터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문턱 더욱 낮아져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메타버스 르네상스 3도토리 이상연
49 성장동력산업 수출 역대 최대 등 신남방·신북방 정책 결실 거두었다 1도토리 조현상
48 성장동력산업 2050 탄소중립과 제조업이 나아갈 길 1도토리 이상연
47 성장동력산업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공포안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46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개정안 12.28(화)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4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 만든 변화, 끝까지 책임 다하는 정부」 1도토리 조현상
44 생명공학/바이오 국내 진단용 의료기기시장 최근 5년간 연평균 8% 성장 1도토리 조현상
43 생명공학/바이오 21년 1/4분기 보건산업 고용 95.3만 명, 전년比 3.1% 증가 1도토리 조현상
42 생명공학/바이오 “화장품산업 전반 비대면 트렌드 확산 추세” 1도토리 조현상
41 생명공학/바이오 2021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24.5억 달러, 전년比 30.3% 증가 8도토리 조현상
40 생명공학/바이오 세계 최초 3D바이오프린팅 환자 맞춤 이식용 인공 기관(호흡기도) 개발 1도토리 조현상
39 생명공학/바이오 7월 보건산업 월간 수출 20.0억 달러로 전년比 21.6% 증가 1도토리 조현상
38 생명공학/바이오 8월 보건산업 월간 수출 19.5억 달러로 전년比 18.3% 증가 1도토리 조현상
37 생명공학/바이오 의료인 디지털헬스케어 필요성 공감 71.8%로 높아 1도토리 조현상
36 생명공학/바이오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수출 186.9억 달러, 전년比 23.7% 증가 3도토리 조현상
35 생명공학/바이오 21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98.1만 명, 전년比 4.2% 증가 3도토리 조현상
34 생명공학/바이오 2022년 보건산업 수출 276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8도토리 조현상
33 생명공학/바이오 혁신의료기기 연구개발 정보관리 기관을 활용한 의료기기 산업정보의 전주기 분석 및 활용 1도토리 조현상
32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 이후 화장품시장 변화 진단 1도토리 이상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