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1
용량 981.76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pdf 981.7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KDB산업은행 
페이지 수 : 24 

[ 목 차 ]

 

1. 정유 산업 개요 및 현황

 

2.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탄소중립 영향 분석

 

3. 국내 정유 산업의 탄소저감 대응 동향

 

4. 시사점

 


 

기후 위기로 저탄소·친환경 사회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어 산업계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유산업은 ‘1(년 기준 32.1백만톤의온실가스 배출량을 기록하며 전체 산업 중 5위를 차지한 온실가스 다배출산업이다.정유산업은 배출권거래제 3차에서도 무상할당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대내외적으로 탄소중립 관련 제도 적용, 탄소감축 목표 강화 논의 등에 따라,정유기업의 적극적인 탄소감축 이행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저탄소·친환경 트렌드로 원유 수요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정유산업은 탄소 배출감소와 더불어 원유 수요 감소에 대한 대응도 필요한 실정이다.이에 따라 정유기업은 탄소감축을 이행하고 있으며, 국내 정유기업의 탄소감축 동향은 ❶저탄소 생산환경 구축과 ❷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로 구분 지을 수있다. 저탄소 생산환경 구축은 에너지 효율화·저탄소 연료 사용·CCUS(CarbonCa'&rUPNaon SoraC)도입 등이 있다. 특히, 탄소를 직접 포집하는 CCUS는탄소 저감에 효과적인 기술로 민·관 협력하여 CCUS 산업 생태계 조성에노력 중이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은 수소에너지가 중심이며, 국내 정유기업은 수소생산·수소 인프라 구축 등에 집중하고 있다.정유산업은 탄소감축 정책 강화로 변화되는 국내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탄소 저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기적인 관점의 대책과 계획을 비전에 담고이행 중이다. 다만, 친환경 에너지 사업은 정유산업과 다른 특성을 가진 사업으로 국내 정유기업의 밸류체인, 규모 등의 면밀한 사업 검토를 통해 진출이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정유산업의 탄소중립 영향과 국내 대응 동향2021. 8 제789호 23Ⅰ. 정유산업 개요 및 현황1. 산업 구조 및 특징❑ (구조) 국내 정유산업은 원유정제를 통해 연료유 및 석유화학산업의 원료인나프타를 생산하는 산업❍ 정유산업은 원유의 주성분인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비등점 차이에 따라 정제하여 휘발유, 나프타, 등유, 경유 등 각종 정유제품을 생산하는 산업- 정유제품은 나프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이 연료유 등 최종재로 사용되며,나프타의 경우에는 석유화학산업의 원료로 사용〈그림 1〉 정유산업의 Supply Chain자료 : 당행작성❑ (특징) 국내 정유산업은 원유 수입의존도와 제품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으로유가변동에 민감❍ 국내 정유산업의 정제능력은 세계 5위 수준으로, 원료인 원유의 중동 수입의존도가높으며, 수출 비중은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음- 전 세계 정제능력은 ’19년 기준 약 101백만배럴/일 규모이며, 국내 정제능력은약 3백만배럴/일- 국내 정유업계는 원유를 전량 수입하고 있으며, ’0년 기준 중동산 원유의비중이 69.0%에 달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36 성장동력산업 은행 (Positive) 미국 대형은행: 마진은 하락, 충당금은 환입 1도토리 조정희
1335 성장동력산업 신세계푸드 실적 우려는 제한적 1도토리 조정희
1334 성장동력산업 EPS LIVE 4 나누어서 사는 구간 1도토리 조정희
1333 성장동력산업 기아[4Q 21 Review] 기대감 제고 1도토리 조정희
1332 성장동력산업 현대모비스[4Q 21 Review] 무난한 결과 1도토리 조정희
1331 성장동력산업 현대건설[4Q 21 Review] 다시 담아 봐도 좋을 1도토리 조정희
1330 성장동력산업 FOMC Review 3월 인상 시작 확실, 점진적 정상화 궤도 진입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329 성장동력산업 지주회사 - 효성그룹 4Q 21 실적 Comment 1도토리 조정희
1328 성장동력산업 다자 차원의 감염병 지원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27 성장동력산업 2021년 14분기 가계의 소득.소비 지출 동향 및 특징 1도토리 국준아
1326 성장동력산업 국내 외국인 직접 투자 동향 및 경제적 파급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25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美 장기금리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4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글로벌 주식 시장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통화 정책 정상화 경로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2 성장동력산업 G7,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 15퍼센트 합의의 의미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21 성장동력산업 주택 금융정책의 딜레마 1도토리 국준아
1320 성장동력산업 주요국의 코로나19 이후 재정지출과 최근 경제성장률 추이 1도토리 국준아
1319 성장동력산업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및 경제적 파급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18 성장동력산업 자산가격 변동이 민간소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 비교 1도토리 국준아
1317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대일본 소재 부품 무역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