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4
용량 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pdf 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검토 배경] 그간 중국경제는 방역성공과 상품수출 호조에 힘입어 세계 경기회복을 견인하였으나 최근 들어 성장세 둔화(peak-out)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ㅇ 주요 기관들은 최근 성장전망을 하향조정하면서 델타변이 확산, 기업규제강화, 원자재가격 오름세가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 최근 중국 실물경제 상황과 성장세 둔화요인을 점검해봄으로써 경기둔화우려에 대한 논란을 평가◆ [최근 경제 상황]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벗어났던 중국경제는 하반기 들어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는 조짐ㅇ 금년 상반기까지 양호한 흐름을 보이던 주요 실물지표가 7월 들어 주춤하며시장 예상치를 하회** 산업생산 6월 8.3% → 7월 6.4%(예상 7.9%) / 소매판매 12.1% → 8.5%(예상 10.9%)/고정투자(누계) 12.6% → 10.3%(예상 11.3%) / 수출 32.2% → 19.3%(예상 20.0%)◆ [성장세 둔화요인 점검]① (코로나19 재확산) 7월 들어 중국내 델타변이 확산에도 중국 정부가 무관용(zero-tolerance) 원칙의 고강도 방역조치를 고수함에 따라 소비 회복이 예상보다지연되고 물류시설 셧다운 여파로 물류차질*이 발생* 글로벌 해운시장 수급 불균형에 정저우 홍수 피해 등 일시적 요인이 가세하면서 물류비용도 크게 상승▪ 그러나 중국 정부의 감염병 통제력과 과거 사례를 감안할 때 확산세가 조기에 통제되면서 소비가 다시 회복된다고 보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GS, JPM)▪ 한편, 물류시설 조업이 재개되었으나 그간 지연된 물량에 의한 연쇄효과(knock-on effect)로 공급병목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Clarksons)② (기업규제 강화) 당국이 체제 안정과 사회 취약계층 보호를 이유로 빅테크,부동산기업 등을 대상으로 규제를 강화하면서 기업 경영여건 악화 우려가 확대▪ 성장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앞으로도 규제 강화 기조가 이어지면서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③ (높은 원자재가격) 원자재가격이 지난해 대비 급등함에 따라 재무구조가취약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여건이 악화될 우려▪ 정부의 가격 안정·통제 정책으로 일부 원자재가격의 상승세가 주춤하는등 다소 성과도 있었으나, 중장기적 정책효과는 제한적일 전망(GS, HSBC)◆ [성장세를 뒷받침하는 요인]① (재정여력) 하반기 재정집행 여력, 주요국 대비 낮은 정부부채비율, 당국의성장둔화 경계감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인 부양 여력은 충분② (고용 개선세) 실업률이 금번 위기 이전 수준까지 하락하고 신규 취업자수도꾸준히 증가하는 등 고용 개선세가 지속③ (양호한 대외수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에 따라 공산품 수요가크게 늘어나는 등 양호한 대외여건이 이어질 전망◆ [향후 전망]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보면, 앞으로 중국경제는 성장세가 점차 완만해진 후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주요 국제기구 및 IB들도 금년중 8% 이상, 내년중 5% 중반 성장을 예상ㅇ 다만 델타변이로 인한 소비 회복세 지연, 기업규제 강화, 원자재가격 오름세등의 영향으로 당초 예상보다 성장 모멘텀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평가▪ 또한 중국경제에는 투자중심의 양적 성장과정에서 누적된 부채문제, 소득불균형 심화, 미국과의 갈등 지속 등의 구조적 위험도 상존목 차Ⅰ. 검토 배경 3Ⅱ. 최근 경제 상황 4Ⅲ. 성장세 둔화요인 점검 6Ⅳ. 향후 전망 12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36 성장동력산업 은행 (Positive) 미국 대형은행: 마진은 하락, 충당금은 환입 1도토리 조정희
1335 성장동력산업 신세계푸드 실적 우려는 제한적 1도토리 조정희
1334 성장동력산업 EPS LIVE 4 나누어서 사는 구간 1도토리 조정희
1333 성장동력산업 기아[4Q 21 Review] 기대감 제고 1도토리 조정희
1332 성장동력산업 현대모비스[4Q 21 Review] 무난한 결과 1도토리 조정희
1331 성장동력산업 현대건설[4Q 21 Review] 다시 담아 봐도 좋을 1도토리 조정희
1330 성장동력산업 FOMC Review 3월 인상 시작 확실, 점진적 정상화 궤도 진입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329 성장동력산업 지주회사 - 효성그룹 4Q 21 실적 Comment 1도토리 조정희
1328 성장동력산업 다자 차원의 감염병 지원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27 성장동력산업 2021년 14분기 가계의 소득.소비 지출 동향 및 특징 1도토리 국준아
1326 성장동력산업 국내 외국인 직접 투자 동향 및 경제적 파급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25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美 장기금리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4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글로벌 주식 시장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통화 정책 정상화 경로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2 성장동력산업 G7,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 15퍼센트 합의의 의미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21 성장동력산업 주택 금융정책의 딜레마 1도토리 국준아
1320 성장동력산업 주요국의 코로나19 이후 재정지출과 최근 경제성장률 추이 1도토리 국준아
1319 성장동력산업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및 경제적 파급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18 성장동력산업 자산가격 변동이 민간소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 비교 1도토리 국준아
1317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대일본 소재 부품 무역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