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정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기술개발 로드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5
용량 829.85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정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기술개발 로드맵.pdf 829.8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 머리말


그동안 하늘을 통한 교통체계는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제트엔진, 프로펠러로 이루어진 항공기, 공항으로 대변되는 장거리 거점 기반 시스템 외에는 생각할 수 없었다. 특히 도심부의 경우 자동차, 트램과 같은 2차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교통수단 외에는 대안이 없었으며, 이에 교통 체증, 탄소배출 문제가 늘 숙제로 남았다. 이에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시스템이 바로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1)이다.


UAM은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연관이 깊다. 이에 따라 ‘드론과 같은 시스템으로 사람과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으리라’는 도전적 아이디어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UAM은 한 마디로 기체와 운항·교통관리, 인프라, 서비스, 인증 등 다양한 분야 기술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차세대 항공시스템이다. 현재 미국, 유럽과 같은 항공선진국에서는 정부와 민간이 합심해 기술·시장을 선점하고자 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실현에 옮기고 있다.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미 항공 우주국)와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미 연방항공청),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의 EASA(European Union Aviation Safety Agency, 유럽항공안전청)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을 보잉(Boeing) 및 에어버스(Airbus)가 독점한 기존 민간항공 시장을 뛰어넘을 다음 세대 항공 산업으로 간주하고, 다양한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부처합동 K-UAM 정책로드맵(2020.6)과 기술로드맵(2021.3)을 수립해 UAM 운용분야별 중점추진기술과 함께 단계별 R&D 전략을 마련했다. 또한 국가전략기술의 12대 분야 50대 기술에 UAM을 포함해 육성정책(2022.12)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은 UTK(UAM Team Korea)를 운영하면서 UAM 관련 범부처 국가연구개발(R&D) 사업을 기획했고, UAM은 현 정부 10대 국가전략기술프로젝트에 선정(2023.4)됐다. 이를 바탕으로 기획된 UAM의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은 정부최초의 신속조사형(Fast Track) 예비타당성 조사 심사에 통과(2023.8)되는 성과를 얻었고, 범정부 제1기 K-UAM R&D 사업단 착수가 준비되고 있다. 이에, 본 지면에서는 K-UAM 기술로드맵 내용과 올해부터 추진 중인 UAM 안전 운용체계 핵심기술 개발 사업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UAM 기술과 관련 산업 미래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

 

 

한국형.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의 스마트폰 및 반도체 산업 육성 현황과 시사점 5도토리 정한솔
841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최신 인도 LED 시장 동향 5도토리 정한솔
841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최신 몽골 과자 시장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41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주요 테크 기업들의 최신 동향 및 분석 5도토리 강정훈
841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일본 엔진 시동용 납축전지 시장 동향 3도토리 강정훈
841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빠르게 변화중인 UAE 태양광 중심의 에너지 시장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41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ChatGPT 활용 증가에 따른 자본시장 이슈 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기술개발 로드맵 5도토리 강정훈
8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신형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정책의 생성형 인공지능 대응 전략 연구 13도토리 강정훈
84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신 메타버스 생태계의 위기와 기회 13도토리 강정훈
8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신 국내외 소프트웨어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84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신 공기관 시스템의 인공지능 도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략적 인공지능 연구개발을 활용한 적극적 국가 산업화 연구 13도토리 강정훈
8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산업 분야의 국가별 신뢰성 확보 정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4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프트웨어 안전사고 사례로 보는 소프트웨어 안전 체계 필요성 11도토리 강정훈
8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프트웨어 산업의 유망기술 을 통한 기초체력 강화 연구 13도토리 강정훈
84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프트웨어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민관협력 정책 연구 13도토리 강정훈
84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8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다양한 메타버스 시장 분류 체계 13도토리 강정훈
84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인공지능 산업 분야 지원 정책 동향 1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