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글로벌 디지털 컨텐츠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1
용량 5.22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글로벌 디지털 컨텐츠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pdf 5.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19 

❏ 조사 배경 및 목적


-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AI), XR기술,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기술의 혁신과 5G 인프라, 데이터센터, 각종 콘텐츠 제작/유통 솔루션 등 인프라 확대로 인한 제작과 유통의 효율성 증대로 인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구글,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들이 해당 분야의 연구 및 신제품 출시에 앞장서고 있고, 팬데믹을 계기로 기존 사업을 디지털로 전환한 기업이 증가하고, 디지털콘텐츠를 체험한 소비자 수도 증가하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세계 각국 정부도 디지털 인프라 확대와 이를 활용한 디지털콘텐츠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외에 산업발전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 저작권 보호, 공정한 이용 등을 촉진하기 위한 각종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있다.


- 2022년 국내 디지털콘텐츠 시장규모는 세계 5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글로벌 OTT서비스가 국내 미디어 시장을 넓히면서 국내 OTT 사업자의 성장에 한계가 있고, 메타버스 등 차세대 미디어/ICT 제작 기반이 취약하며, 콘텐츠 제작 비용이 상승하며 글로벌 자본에 의존하는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서 △OTT 플랫폼·콘텐츠의 글로벌 성장 지원, △메타버스를 차세대 미디어플랫폼으로 집중 육성, △크리에이터 미디어 지원으로 탄탄한 일자리 창출,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산업 혁신 기반 마련이라는 4대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다.


- 본 조사에서는 전세계 5대 권역 외 미국, 일본, 중국, EU/영국, 동남아 5개국(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을 중심으로 각 산업별 변화를 반영한 시장 통계를 조사,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해외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디지털콘텐츠 정책수립 및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조사 방법


- 시장분류체계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15개 산업을 대상으로 분류체계를 유지하되, 실감콘텐츠 소분류체계는 주요 산업 활용 동향과 최신 시장 보고서의 분류 체계를 반영하여 조정하였다.


- 본 보고서는 전년도와의 시계열성을 유지하면서도 개정된 산업분류체계에 적합한 국외 디지 털콘텐츠 산업의 시장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PWC, Allied Market Research, Grand View Research, MarketsandMarkets, IMARC 등 신뢰성 높은 산업별 자료원의 보고서 및 전문 자료를 활용하여 시장규모를 산출했다. 직접조사를 수행하지 않는 본 연구의 특성상 향후 5년간 시장전망치 도출시 글로벌 리서치기관의 전망치와 성장률(CAGR 등)을 기본으로 하되, 일부 수치만 공개하는 등 자료의 한계로 추정이 불가피한 경우에
는 적절한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 본 조사에서는 전세계 5대 권역 외 미국, 일본, 중국, EU/영국, 동남아 5개국(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을 중심으로 각 산업별 변화를 반영한 시장 통계를 조사,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해외 디지털콘텐츠 산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디지털콘텐츠 정책수립과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글로벌디지털.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디지털 컨텐츠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8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AI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8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인공지능 산업 분야 비즈니스 창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IP5 통계보고서 주요내용 및 시사점 7도토리 강정훈
8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신 태국 완구시장 산업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3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신 글로벌 컨텐츠 산업 주목할만한 이슈들 7도토리 강정훈
839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최신 국내외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산업 분야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3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글로벌 태양광 공급망 장악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및 전략 13도토리 강정훈
839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기업 분석으로 알아보는 제약, 바이오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 국가들의 인공지능 산업 분야 규제 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장민환
8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트리밍 시대의 최신 미국 미디어 컨텐츠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성숙기에 접어든 OTT 시장의 경쟁 지형 13도토리 장민환
83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설명 가능한 인공 지능(XAI)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대규모 투자하는 일본정부 3도토리 장민환
83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래자동차 시장과 전기, 자율주행 신뢰성 7도토리 장민환
8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수소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장민환
8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모니터링 드론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나노탄산칼슘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 위기 속 미국의 반도체 자립화 7도토리 장민환
83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품목별 ICT 시장동향 3D 프린팅 분야 2024 7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