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주요국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 사례를 통한 국내 발전 방안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6
용량 2.94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주요국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 사례를 통한 국내 발전 방안 연구.pdf 2.9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2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1 

□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의 형성배경과 현황, 발전과정 및 성공요인, 정부/민간 주체별 역할, 입지여건 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함

 

● 해외의 대표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로 미국 보스턴, 스위스 바젤, 일본 고베의 바이오 클러스터를 선정하고 기관 방문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해당 바이오 클러스터의 성장과정과 발전요인, 장단점과 정부/민간의 역할을 확인함
    - 해외의 성공적인 바이오 클러스터에는 정부・지자체의 직・간접적 마중물 지원과 민간 자생적 또는 정책적 유인을 통한 혁신

      주체의 결집, 우수한 연구인력 유치를 위한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음


● 홍릉, 송도, 광교/판교, 대덕, 오송, 대구 등 주요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 현장방문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 문헌조사를 통한 현황

    파악과 함께 현장감 있는 이슈를 발굴
    -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에 대해 조성개요 및 특징, 당초 설립계획과 차이점, 공간적・기능적 측면의 특성, 설립 및 발전과정에서

      중앙정부・지자체・민간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 정부・지자체 주도 바이오 클러스터가 다수 구축되어 있으나 상호 연계나 차별성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적인 수준에서 운용되어,

      양적・질적으로 글로벌 수준에 도달하지 못함
    - 상이한 법・제도적 근거에 기반하여 설립・운영되고 담당 부처와 지원 주체가 다양하게 얽혀있어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를 포괄

      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실태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음

 

□ 바이오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바이오 분야 특화된 핵심요소별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정량적 평가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향후 바이오 클러스터 수준 진단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

 

● 바이오 클러스터 경쟁력 결정 핵심요소로 구성주체*, 정주여건, 교통여건, 연구성과, 기업지원 투자 등을 제시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바이오 분야 특화된 지표체계를 마련

    * 기업, 대학, 연구기관, 병원

 

● 바이오 클러스터 평가지표별로 객관적 통계 등의 자료를 근거로 한 수치 데이터를 도출한 후, 단계별 분석을 통해 각 클러스터별

    핵심역량 및 특성을 제시

 

 

-----------------------------------------------------------------------------------------------------------------------------------------------------

 

 

주요국바이오.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딥페이크를 중심으로 본 생성형 AI 악용 현황과 대응 과제 7도토리 노민우
8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1분기 해운 및 조선 산업 분야 최신 동향 7도토리 노민우
835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의 숏폼 컨텐츠를 활용한 식음료 소비 동향 및 분석 3도토리 노민우
835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일본의 숏폼 컨텐츠를 활용한 소비시장 활성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일본 젊은 소비자층의 소형 가전 소비 최신 동향 3도토리 노민우
8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일본 스마트폰 시장동향 3도토리 노민우
8353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2024 호주 수소산업 정보 5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 사례를 통한 국내 발전 방안 연구 9도토리 노민우
8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13도토리 노민우
83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성장 동력 푸드테크 핵심, 스타트업 생태계 7도토리 노민우
83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BCI(뇌-컴퓨터 인터페이스)산업 시장 동향 및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3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푸드테크의 미래를 선도할 3D 식품 프린팅 3도토리 노민우
83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실리콘 공급망 동향 5도토리 노민우
83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브라질 이차전지 소재 인광석 산업 동향 5도토리 노민우
834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첨단재생의료 현장형 세포 배양 전문과정 교육 운영 9도토리 국준아
834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전기자동차 LFP배터리 관리방안 마련 7도토리 국준아
8343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신변종 감염병 대비 백신 연구 동향 분석 및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로드맵 수립 7도토리 국준아
834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비임상시험평가 조직병리학적 검경(수의독성병리) 7도토리 국준아
834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미진단 희귀 유전성 심근병증 메틸레이션 데이터 생산 5도토리 국준아
834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로봇산업 규제혁신 과제 발굴을 위한 민관협의체 운영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