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3
용량 589.6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pdf 589.6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 중국의 산업규제 현황 중국정부는 2020년 11월 빅테크 산업에 대한 반독점 규제를 시작으로 교육, 게임, 부동산 산업 등으로 규제를 확대 (플랫폼 산업) 2020년 하반기부터 불공정거래를 본격적으로 규제 중국의 플랫폼 산업은 소수의 빅테크 기업들이 지배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불공정 거래 등 독과점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 이에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정책을 잇따라 발표1)하였으며 해당 기업의 경영진을 소환・면담2) 하고 불공정거래 행위를 규제 알리바바, 텐센트, 메이투안 등 시장점유율이 높은 플랫폼 기업에 대해 반독점법 위반 등을 근거로 벌금을 부과 6월 30일 공유차 서비스인 디디추싱의 미국 상장 후 중국정부는 애플리케이션을 중국 내 모든 앱스토어에서 삭제하라고 명령하였으며, ‘국가 데이터 유출 리스크’를 이유로 미국에 상장한 플랫폼 기업 3곳3)을 조사 [그림 1]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장점유율 [그림 2] 중국 지급결제 플랫폼 시장점유율 주: 전자상거래 시장점유율은 2021년 기준, 지급결제 시장점유율은 2019년 기준 자료: statista ※ 본 보고서는 중국 회의결과 자료인 공보(公報) 및 국가통계국,OECD, 북경대 자료 등을 참조하여 작성 1) 2020년 11월 「인터넷 플랫폼 경제 반독점법 지침」에 대한 초안을 발표하고 의견수렴을 통해 2021년 2월 7일 최종안을 발표. 2021년 3월 「온라인 거래 감독관리 방법」과「소비자 정보 관리 합작사 설립방안 검토」방안 발표 2) 2020년 11월부터 알리바바, 텐센트, 징둥, 메이투안, 바이두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을 소환하여 면담 시행. 2021년 5월에는 디디추 싱, 메이투안 등 10개 운수분야 플랫폼 기업에 대해 운전자의 이익 침해와 운송데이터 부당 독점에 대한 시정을 요구 3) 디디추싱, 만방(滿幇)그룹, BOSS즈핀(直聘) Ⅰ 91 (교육 산업) 중국은 학업과 사교육 부담을 줄이는 ‘쌍감(双减)정책’을 추진하여 사교육 산업을 규제 사교육 기관들의 신규 영업허가 금지, 기존 사교육 기관의 비영리기관 전환, 사교육업체의 IPO(기업 공개)를 통한 자금 조달과 광고 금지, 주말・공휴일・방학 중 학교 교과와 관련된 사교육 금지 등의 조치를 시행4) 이어 사교육 종사자에 대해 블랙리스트 관리제도5)를 도입하고 사상교육도 강화(‘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 사상이 확실한 자’를 채용할 것을 강조)6) [그림 3] 중국의 가계지출 대비 학생 1인당 교육비 지출 비중(%) [그림 4] 중국 사교육 참여율(%) 주: 2019년 기준 자료: 북경대 중국교육재정과학연구소(中国教育财政科学研究所) (게임 산업) 미성년자가 성장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는 목표 하에 18세 미만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을 제한하는 등 게임산업 규제를 강화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은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시간을 일주일에 3시 간으로 제한하고 온라인 게임 업체를 상대로 관리감독 강화를 요구7) (부동산 산업) 주택가격의 상승세 지속, 부동산 개발업체의 부채문제 등으로 부동산 관련 규제 강화 중국정부는 ‘부동산은 주거용으로 투기용이 아니다’라는 기조로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방지하고자 지방정부 주도 하에 금융 및 조세 정책을 추진 특히 2020년 8월 3대 레드라인을 지정하여 부채비율 70% 이상, 순부채비율 100% 초과, 현금성자 산 대비 단기부채 비율 1배 초과에 해당하는 부동산 개발기업에 대한 신규 대출 및 여신 확대를 제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09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8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COVID-19가 산업과 문화에 미친 영향 3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오일쇼크 발 슬로플레이션 우려 증폭 - 국제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1도토리 국준아
1296 성장동력산업 COVID-19 백신 특허권 유예 논쟁 배경과 주요 이슈 1도토리 조정희
1295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계약에 기초한 DeFi의 활용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93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일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韓 기업의 진출 전략 7도토리 조정희
1291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