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5
용량 476.1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pdf 476.1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 기업의 ESG성과와 국제경쟁력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ESG경영을 추구하는 기업이 증가하 고 ESG성과 측정과 관련하여 글로벌 표준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 중 ESG(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성과는 재무제표에 나타나는 재무적 성과 이외에 사회적 가치 창출과 관련이 높은 비재무적 성과를 통칭함 ESG경영을 통해 추구하는 주요 사회적 가치를 환경(E: environment), 사회(S: Social), 지배구조 (G: Governance)로 분류할 수 있음 국제증권위원회(IOSC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는 ESG성과 평가회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규제지침을 마련 중 투자자, 펀드매니저, 발행기업, 등급평가회사, 데이터공급자 등이 사용하는 ESG정보의 완전성, 일관 성, 비교가능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 기업의 ESG성과가 기업가치와 국제경쟁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 증권투자, 대출, 무역금융, 신용평가 등에서 ESG점수・등급을 활용하는 사례가 확산됨에 따라 ESG 성과가 기업의 자본비용(cost of capital)에 영향을 주고 있음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자금 공급 시 해당 기업의 재무가치와 더불어 이해관계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ESG점수・등급을 함께 고려 글로벌 공급망(supply chain) 참여 기업들 사이에서 거래상대방의 ESG성과를 고려하는 움직임이 확산되어 ESG성과와 국제경쟁력 사이 연관성이 커지고 있음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업체에 대한 평가(assessment), 감사(audit) 등을 통해 공급업체 관련 ESG위 험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1) ※ Morningstar 데이터, Sustainalytics ESG 평가 방법론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 1) PRI. 2017. “Managing ESG Risk in the Supply Chains of Private Companies and Assets.” 2021년 10월호 98 ❘ 주요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한 국 기업들의 ESG위험 관리역량 현황을 점검하고 국제경쟁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 한국의 주요 교역상대국 투자자・기업들이 ESG평가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ESG성과가 낮은 거래상대방을 기피하는 양상이 나타날 수 있음 기업 ESG성과 관련 표준(standards)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는 경우 글로벌 공급망 내 거래상대방에 대한 ESG성과 개선 요구가 보다 커질 수 있음 한국 기업들의 ESG성과가 국제경쟁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점검하는 차원에서 주요국 기업들의 ESG위험 관리역량 수준을 비교 2. ESG위험 관리역량 지수 통상적인 ESG점수・등급 결정방식은 ESG이슈(issue) 선정, 관련 지표 선택, 지표별 평가, 중요도 적용, 등급 산정 등의 과정을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지표별로 정량・정성적 성과를 측정하고, 이슈별 중요도를 고려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업 단위 ESG점수를 추정한 후, 일정한 기준에 따라 ESG등급으로 전환 중요도(materiality)는 특정 ESG이슈가 기업가치, 투자위험, 수익률 등에 미치는 영향, 즉 사회적 가치와 기업 경영성과의 관련성 정도를 고려함 평가회사별 차별적인 방식으로 이슈 선정, 지표 선택, 중요도 설정, 등급 설계 등을 수행하는 만큼, 평가결과인 ESG점수・등급에서도 편차가 존재2) 글로벌 평가회사의 예는 Morningstar (Sustainalytics), MSCI (KLD, IVA), S&P (RobecoSAM), Moody’s (Vigeo Eiris), Refinitiv (Asset4) 등임 Sustainalytics의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지수를 설계함 위험노출수준 대비 관리수준의 비율을 백분율로 전환하여 비교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업종별 특성을 감안한 상태에서 기업들 사이의 상대적 역량을 비교 (ESG위험 관리역량 지수)% = 100 × [(관리수준) / (위험노출수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1도토리 국준아
1338 성장동력산업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1도토리 국준아
1337 성장동력산업 COVID-19 백신 특허권 유예 논쟁 배경과 주요 이슈 1도토리 조정희
1336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계약에 기초한 DeFi의 활용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335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334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333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일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韓 기업의 진출 전략 7도토리 조정희
1332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31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33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무역 장벽의 실태와 시사점 :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조정희
1329 성장동력산업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국준아
1328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국가 발전 모델의 제안 3도토리 조정희
1327 성장동력산업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26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심화 중 소프트패치 가능성 염려 3도토리 조정희
1325 성장동력산업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24 성장동력산업 EU의 사회적 분류체계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23 성장동력산업 빅테크와 은행의 협업 확대 필요성 1도토리 국준아
1322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인식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1321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1+N’ 탄소중립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320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해리스 행정부,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승인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