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3
용량 595.4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pdf 595.4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배경 및 동향 EU는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실현을 위한 구체적 정책 수단 중 하나로 ‘Fit for 55’1)를 발표하면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를 제시(2021.07.14.)2) EU는 유럽 그린딜을 발표하면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공식화하였고,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을 예고한 바 있음(2019.12.11.) 유럽 그린딜은 에너지전환 및 탄소중립을 침체된 유럽 경제 부흥을 위한 기회로 보고, 탄소국경조정 을 통해 확보될 것으로 예상하는 연간 50억~140억 유로의 세수 역시 에너지전환과 경제 회복 지원을 위해 사용할 계획을 포함 [그림 1]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과정 그림: EU집행위원회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안을 바탕으로 국회예산정책처 작성 ※ 본 보고서는 EU집행위원회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안, 국가온실가스 배출량 종합정보 시스템(NETIS), KRX 배출권시장 정보플랫폼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 1) European Commission(2021.07.14.), ‘Fit for 55’: delivering the EU’s 2030 Climate Target on the way to climate neutrality, COM(2021) 550 final. 2) European Commission(2021.07.14.), 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establishing a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OM(2021) 564 final. 2021년 10월호 112 ❘ ‘Fit for 55’는 EU가 2030년까지 1990년 탄소배출량의 55% 감축이라는 중기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패키지로,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정책 수단으로 제시 ①탄소 가격결정, ②감축목표 설정, ③규정 강화, ④포용적 전환을 위한 지원 대책인 사회기후기금 등에 관한 정책 포함 EU는 역내 탄소중립뿐만 아니라 탄소누출(carbon leakage) 방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부담 공유, EU의 역내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을 통해 2030년 탄소누출을 29%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는 2023년~2025년까지 3년 동안의 과도기를 거쳐 2026년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 과도기에는 탄소국경세를 징수하지는 않고, 수입품에 내재된 탄소배출량 등에 관한 정보를 모으고 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에 노력 EU 역내 수입업자들은 매 분기별로 이전 분기의 수입에 내재된 직・간접 탄소배출량 및 이미 EU 역외에서 지불한 탄소 가격을 보고함 미국 역시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와 유사한 ‘국경탄소조정’(Border Carbon Adjustment) 의 도입을 추진 중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의회에 제출한 「2021 통상정책의제 및 2020 연례보고서」3)에서 기후 변화 및 글로벌 무역에 내재된 온실가스배출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국경조정(carbon border adjustments)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2020.03.01.) 미국 민주당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철 등의 품목을 대상으로 국경탄소조정 법안 발의 (2021.07.19.)4) 입법안에는 2024년 1월 1일부터 탄소세를 부과하려는 계획이 담겨 있으며, 전문가들은 미국의 국경탄소조정을 통해 연간 50억~160억 달러의 탄소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16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녹색 금융 현주소와 전망 3도토리 국준아
1315 성장동력산업 EU 탄소 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14 성장동력산업 팬데믹 이후 유로 지역과 미국의 경기 회복 격차 발생 원인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13 성장동력산업 지역 인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1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변혁이 불러온 금융 분야 패러다임 변화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311 성장동력산업 지역 인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10 성장동력산업 빅블러 시대, '美'의 경계가 사라지다 1도토리 국준아
1309 성장동력산업 지역 고용시장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8 성장동력산업 다크웹의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 주가 및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 및 주요 쟁점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NFT, 디지털 자산시장의 진화 1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장애물, 3대 위험 요소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9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속 한국 무역 날개를 달다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집값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날까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