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COVID-19 백신 특허권 유예 논쟁 배경과 주요 이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41
용량 1.3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COVID-19 백신 특허권 유예 논쟁 배경과 주요 이슈.pdf 1.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1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19 

[ 목 차 ]

 

Ⅰ. 논의배경

 1. 논의 배경

 

Ⅱ. WTO TRIPs 협정의 특허보호 관련 내용

 1. 특허권의 보호와 예외

 2. 특허권 보호 예외와 ‘강제실시권(Compulsory License)’

 

Ⅲ. 주요국별 입장 

 1. 특허권 유예 찬성 입장 

 2. 특허권 유예 반대 입장 

 3. WTO의 중재 노력

 

Ⅳ. 향후 전망 

 


 

□ 논의 배경 ◦ 코로나19 극복 및 공중보건 목적으로 백신 특허권 유예 논의 대두 ◦ WHO 차원의 논의 추진하였으나 참여국 규모 및 강제성 부재 등 한계 봉착 ⇒ WTO ‘무역관련지식재산권협정(이하 TRIPs 협정)’ 활용한 해결책 모색 □ WTO TRIPs 협정의 특허보호 관련 내용 ◦ 특허권의 보호와 예외 - 협정에서는 모든 발명에 대한 특허 보호 의무를 규정하며 의약품을 포함한 모든 특허 보호를 원칙적으로 천명 - 단, 공중보건상의 필요가 있는 경우, 일정 요건 충족을 조건으로 예외적으로 특허에 제한을 가하며 특허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음 ◦ TRIPs는 특허권 보호 예외조치로서 △ 특허권 유예, △ 강제실시권 규정 ① (특허권 유예) 새로운 발명에 대한 배타적인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유예 기간동안 특허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 ② (강제실시권) 발명에 대한 특허권을 인정하는 상태에서, 권리자의 승인 없이 정부가 강제로 해당 특허물질을 생산·사용하는 권한 【 특허권 유예와 강제실시권 비교 】 구분 특허권 유예 강제실시권 개념 배타적 독점권을 포함하는 특허권을 일시 유예하여 특허권의 보장을 중단하는 것 국가 또는 제3자가 공익적 목적을 위해 특 허권자의 허가 없이 특허를 사용할 수 있 도록 하는 것 장점 발명주체의 권리를 일절 인정하지 않으 므로 정부의 보상 불필요, 사법적 이의 제기 가능성 미미 - 빠른 의사결정 절차를 통해 시행 가능 - 특허권 가치를 고려한 경제적 보상 지급 단점 - 국제기구 의사결정에 장시간 소요 * WTO의 경우, 전원합의(consensus) 방식의 의사결정 절차 필요 - 백신 개발사들의 권리 침해 사용 승인절차, 보상 수준 등 특허권자의 사법적 이의 제기 가능성 다대 요 약 Global Market Report 21-015 □ 주요국별 입장 ◦ 미국·개도국 등은 특허권 유예 찬성하는 반면, EU 등은 반대 입장 【 특허권 유예 찬성 및 반대 주장 】 구분 찬성 반대 주요국 - 미국 - 인도, 남아공, 최빈개도국그룹 등 - EU, 스위스, 캐나다 등 주장 - 팬데믹 확산 방지와 백신 공급의 형 평성 도모를 위해 코로나19 대응 의약품에 한해 지재권 유예 필요 - 글로벌 제약사의 백신 개발 및 보급 인센티브로서 지재권 보호 필요 - 백신 생산·수출 확대, 강제실시권 발동 등 특허권 유예 이외의 대안 제시 ◦ WTO 중재 노력 - 국가간 중재 노력 추진해왔으나 이견차이 좁히는 데에 난항 □ 향후 전망 ◦ WTO 내 합의 도출 장기간 소요 예상 ◦ 회원국간 특허권 유예가 합의되더라도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 - 제약사가 반대할 경우 강제수단 미비 - 주요국의 백신 및 원료·장비 수출 규제로 원활한 보급에 애로 노정 - 회원국 대부분은 첨단 백신 제조역량 부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09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8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COVID-19가 산업과 문화에 미친 영향 3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오일쇼크 발 슬로플레이션 우려 증폭 - 국제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9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COVID-19 백신 특허권 유예 논쟁 배경과 주요 이슈 1도토리 조정희
1295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계약에 기초한 DeFi의 활용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93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일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韓 기업의 진출 전략 7도토리 조정희
1291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