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전망] 메모리산업 근거리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88
용량 828.58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전망] 메모리산업 근거리 전망.pdf 828.5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2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7 

1. 2024 년 HBM 공급 부족 지속 전망


2024 년 HBM 대규모 증설에도 초과 공급 가시성 제한적


SK증권은 2024년 DRAM 3사의 HBM 대규모 증설 (전년 대비 2.6배)에도 연중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는 24 년 말까지
130K, 마이크론은 35K 수준의 TSV Capa.를 확충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증설
이후에는 항상 초과 공급이 이어졌다는 과거의 사례를 생각하면 수요, 공급 측면에
서의 판단이 필요하다.


수요 측면에서는 NVIDIA 기준 H200 의 HBM 요구 용량은 80% 증가, B100 에
서는 140% 수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GPU 수량도 증가할 것이다. 주
요 수요처인 북미 CSP 4 사의 합산 CapEx. 컨센서스의 반등과 TSMC 실적에서
확인한 AI 강세를 감안하면 AI 에 대한 전망치가 하향되는 국면으로 보기도 어렵다.


공급 관점에서도 HBM 이 HBM3 8Hi 에서 HBM3e 8Hi 로의 세대 전환을 거치며
(2Q24 H200부터 적용), I/O 수 확장 등이 필요해 수율 체감이 불가피하다.


또한 HBM3e 가 1a, 1b 로 전공정 Migration 을 거쳤음에도, Mono-die 용량 증가
(16Gb->24Gb), I/O 수 확장으로 HBM3e Core die 의 Gross die 수량은 HBM3
대비 증가하기 어려울 것이다. 즉, 증설 규모만큼 출하량이 증가하지 못하며,
Commodity capa loss 가 감소하기 어려운 사이클이다.

 

2. HBM 경쟁의 성격


원가 경쟁이 아닌 성능 경쟁


HBM 경쟁의 성격은 원가 경쟁이 아닌 성능 경쟁에 집중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메모리의 3대 요소 (High performance, Time to market, Low cost) 중

Commodity의 경우 전공정 미세화 병목 심화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이

핵심 요소화 되면서 경쟁 강도 증가는 부정적 결과를 이끌었으나, HBM의 경우

원가보다 고성능, 적기 대응이 훨씬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HBM3e 8Hi 제품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시에 12Hi 제품의 선제적 샘플

제출을 진행했다는 점과 마이크론 역시 HBM3 시장 진입이 아닌 HBM3e 시장 진입

을 선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원가 경쟁보다는 성능 중심의 경쟁이라고 판단한다.


특히 2.5D GPU SiP 경쟁력 강화에는 고성능HBM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는

점에서, HBM 생산자들이 성능과 원가를 절충시킬 유인은 매우 적다.


HBM의 경쟁 논리는 기술 고도화를 통한 프리미엄 창출이며, 예정된 경쟁 심화를

감안해도 가격 방어를 위해서는 HBM 고도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그 과정

에서의 생산자 수율 체감은 거시경제 회복 둔화 속 AI 수요 성장 국면에서 감내 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

 

스크린샷 2024-04-26 13441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2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비임상시험평가 조직병리학적 검경(수의독성병리) 7도토리 국준아
711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미진단 희귀 유전성 심근병증 메틸레이션 데이터 생산 5도토리 국준아
711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로봇산업 규제혁신 과제 발굴을 위한 민관협의체 운영 7도토리 국준아
711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내환경검증 DB현황 조사 및 기술심사 체크리스트 개발 7도토리 국준아
711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국내의료기관 항생제 적정사용관리 활성화를위한 지역의료기관간 네트워크모형개발 5도토리 국준아
711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WHO-PQ 인증을 위한 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 기술지원 5도토리 국준아
711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ICT RnD 연구개발성과 기술실시 현황 및 사용 실적 조사 7도토리 국준아
711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6년 그린 ODA 신규사업 기획 7도토리 국준아
711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폐자원에너지 회수통계 조사 및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11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한의약산업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용역 9도토리 국준아
711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용역 제안 요청서 7도토리 국준아
710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글로벌 데이터산업 동향정보 제공 용역 7도토리 국준아
710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안전 AI서비스 플랫폼 구현방안 기획연구 7도토리 전아람
710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중장기 에너지부문 온실가스 평가모델 개발 및 감축잠재량 분석 7도토리 전아람
710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의약품 품질관리 시험법의 분석 설계기반 품질고도화 기법(AQbD) 활용 연구 5도토리 전아람
710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신기술 적용 식품원료 인정현황 조사 및 평가방법 개선 연구 5도토리 전아람
710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궁·능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드론 모니터링 용역 7도토리 전아람
710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국가 희귀특산식물 DB화 및 영상자료 확보 7도토리 전아람
710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고위험병원체 등 병원체 관련 법령 정비 방안 마련 연구 7도토리 전아람
710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K-드론 기업 정보 조사 및 Korea Drone Industry Book 제작 위탁용역 9도토리 전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