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55 | |
---|---|---|---|---|---|---|
용량 | 6.03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pdf | 6.0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6-11 |
---|---|
출처 : | 기업 |
페이지 수 : | 32 |
[ 목 차 ]
1.개 요
2.소재부품산업 현황
3.소재부품산업 교역 현황
4.시사점
국내 소재부품산업 현황과 시사점 쏠림현상 해소와 핵심경쟁력 유지가 과제 개 요 지난 년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 을 시작으로 차례의 소재부품발전기본계획 을 수립 추진함으로써 소재부품산업의 높은 해외 의존도를 해소하고 경제력을 제 고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자 집중 육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비 분야를 포함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대 분야 대 품목을 선정해 높은 해외 의존도 개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난 년 이후 소재부품산업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단 사업체 수 종업원 수 부가가치는 년 생산액 비교 대상에 따라 시기가 다름 과 교역은 년으로 분석 기간이 상이하다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소재부품 산업 현황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소재부품 산업 지난 년간 국내 소재부품산업은 빠른 규모의 확대를 달성했다 사업체 수는 년 약 만개에서 년 약 만개로 증가했는데 동기간 종업원 수는 약 만 명에서 약 만명으로 생산액은 약 조원에서 조원 년 으로 부가가 치액은 약 조원에서 약 조원으로 급증했다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급증했 다 수출은 년 약 억 달러에서 년 약 억 달러로 배 이상 증가 했는데 이는 수입 증가세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그 결과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동기간 약 억 달러에서 약 억 달러로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 소재부품산업 개황 > 구분 사업체 수 천개 종업원 수 만명 생산액 조원 부가가치액 조원 교역 억 달러 수출 수입 수지 년 년 년 년 대비 년 증감율 년 연평균 증감률 자료 소재부품종합정보망 통계청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이용 작성 주 사업체 수 종업원 수 부가가치는 년 기준 생산액은 년 기준 EXECUTIVE SUMMARY ii 전체 제조업을 상회하는 성장 속도와 생산성 개선 사업체 수나 종업원 수 등 규모 면에서는 제조업 전체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 하는 수준이다 소재부품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 수 약 종업원 수 약 이상 년 생산액 약 년 다 하지만 부가 가치액과 수출 무역수지 규모는 제조업 또는 전산업 수준을 상회한다 동 부가가치 비중은 약 년 전산업 수출 비중은 약 무역수지 흑자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약 이상 년 에 달한다 또 종업원 인당 생산액과 부가가치액 으로 본 생산성 개선 속도도 제조업을 상회한다 년 종업원 인당 생산액 과 부가가치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소재부품산업이 각각 약 약 로 동 제 조업 각각 약 약 를 상회한다 < 소재부품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추이 > 자료 소재부품종합정보망 통계청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이용 작성 주 사업체 수 종업원 수 부가가치는 년 기준 생산액은 년 기준 수출 수입 무역수지는 전산업 기준 소재부품산업 내 쏠림현상과 차별화 심화 생산액과 부가가치는 종업원 인 이상 규모 사업체에 집중되어 있다 사업체 수 는 종업원 인 미만 기업에 약 년 가 집중되어 있지만 생산액과 부가 가치액은 종업원 인 이상 기업에 각각 약 약 이상 년 가 쏠려 있다 이는 소재부품산업 내 세부 산업별로도 마찬가지다 생산액은 년 기준 전 자부품 약 차 금속제품 약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약 수송기 계부품 약 등 대 산업에 약 가 집중되어 있다 같은 해 부가가치액도 전자부품 약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약 수송기계부품 약 등 대 산업 비중이 약 에 달한다 한편 산업별 종업원 규모별 성장 속도에서는 차별 화가 보인다 년 연평균 증가율을 기준으로 보면 생산액 증가 속도는 정밀 기기부품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 순으로 높았으며 부가가치액 증가세는 전자부품 정밀기기부품 금속가공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금속가공제품 전기장비부품 전자부 품 정밀기기부품 수송기계부품 등 개 산업은 종업원 인 이상 업체의 생산액과 부가가치액 증가세가 가장 높았다 종업원 인당 생산액 및 부가가치액으로 본 생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