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AI 시대 대한민국 사회와 개인의 미래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109
용량 2.6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AI 시대 대한민국 사회와 개인의 미래전략.pdf 2.6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2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7 

연구의 배경


(성숙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개인’의 가치) 개인의 삶 관점에서 AI 시대 2050년 대한민국 미래 사회 모습을
전망하면서, 우리가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의 미래를 탐색하고 선호하는 미래로의 이행을 위한 전략과제를
모색하고자 함


- 전략적 미래예측 접근 기반 미래전망 연구 체계 수립을 바탕으로 다양한 가능성의 미래 사회와 개인의 모습을
탐색하고자 함*
※ 국가의 발전 목표를 위해 개인과 사회가 희생되는 것이 아닌, 평등한 주체로서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미래를 설계하고 질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로의 전환을 이뤄낼 필요가 있음. 새로운 국가미래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국회미래연구원, 2021; 김현곤, 2021)


- ’22년 수행한 ‘대한민국 미래전망’ 연구에서 확장·심화하여, 개인의 선택 관련 영역(기술 및 공간)에 초점을 맞춰
융합적 미래전망을 수행하고자 함


(국민 개인의 삶과 요구에 밀착한 국회로의 전환 요구) 미래 시나리오별 잠재적 기회와 위험요소를 근거로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미래 상황과 이에 대응한 전략적 대안을 폭넓게 탐색함으로써 유연하고 포괄적인 국회로 전환할 필요


- 국회가 신뢰를 회복하고 더욱 효과적인 소통과 정책결정 및 입법 과정 등을 위해서는 국회의 개혁과 국민의 삶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관심이 필요


- 이러한 맥락에서 국민의 삶과 밀접한 정책을 수립하고 국회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중요


- 개인의 삶 관점 다양한 미래 사회 시나리오를 탐색함으로써, 다양한 계층과 집단이 직면할 수 있는 특수한 도전과
기회를 식별할 필요


- 다양한 시민들의 필요와 도전에 대응하여 국회는 관련 법률과 제도를 검토하고 조정해나갈 필요가 있음


-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공유하고 토론함으로써 국회는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사회적 합의 형성 과정에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통해 민주적 절차를 강화하고, 국민이 정책결정 및 입법 과정 등에 더 깊이 관여하도록 뒷받침할 필요


- 나아가 국회는 현재의 이익을 넘어 미래 세대의 삶의 질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고려함으로써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입법 및 정책개발을 이뤄내야 함

 

 

연구의 목적


(개인의 삶 관점 미래 사회 전망 목적) 미래 AI 시대 개인의 웰빙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핵심축인 ‘지능형
기술발전’과 ‘생활공간 변화’ 관련 주요 환경변화 동인을 탐색하고, 동인 간 상호작용에 기반한 미래 시나리오를
탐색함으로써 시나리오 기반 전략과제 탐색을 이뤄내고자 함([그림 1] 참고)


- 22년 연구에서 확장・심화하여, 개인의 선택 관련 영역에 초점을 맞춰 융합적 미래전망을 수행(‘관계’, ‘환경’ 및
‘기술’ 영역 포괄)


- 미래전망을 위한 질문은 ‘향후 지능형 기술발전과 생활공간 변화에 따른 생활 변화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웰빙과
사회적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까?’로 설정1)2)


- 미래전망을 위한 주요 연구단계는 1) 미래질문 설정, 2) 미래 환경변화 동인 탐색, 3) 동인 간 상호관계 분석, 4)
핵심 동인 추출과 미래 시나리오 탐색, 5) 미래 시나리오 해석 및 전략적 대안 탐색 등으로 구성

 

 

-----------------------------------------------------------------------------------------------------------------------

 

스크린샷 2024-04-26 13142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2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비임상시험평가 조직병리학적 검경(수의독성병리) 7도토리 국준아
711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미진단 희귀 유전성 심근병증 메틸레이션 데이터 생산 5도토리 국준아
711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로봇산업 규제혁신 과제 발굴을 위한 민관협의체 운영 7도토리 국준아
711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내환경검증 DB현황 조사 및 기술심사 체크리스트 개발 7도토리 국준아
711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국내의료기관 항생제 적정사용관리 활성화를위한 지역의료기관간 네트워크모형개발 5도토리 국준아
711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WHO-PQ 인증을 위한 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 기술지원 5도토리 국준아
711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ICT RnD 연구개발성과 기술실시 현황 및 사용 실적 조사 7도토리 국준아
711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6년 그린 ODA 신규사업 기획 7도토리 국준아
711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폐자원에너지 회수통계 조사 및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11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한의약산업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용역 9도토리 국준아
711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용역 제안 요청서 7도토리 국준아
710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글로벌 데이터산업 동향정보 제공 용역 7도토리 국준아
710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안전 AI서비스 플랫폼 구현방안 기획연구 7도토리 전아람
710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중장기 에너지부문 온실가스 평가모델 개발 및 감축잠재량 분석 7도토리 전아람
710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의약품 품질관리 시험법의 분석 설계기반 품질고도화 기법(AQbD) 활용 연구 5도토리 전아람
710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신기술 적용 식품원료 인정현황 조사 및 평가방법 개선 연구 5도토리 전아람
710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궁·능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드론 모니터링 용역 7도토리 전아람
710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국가 희귀특산식물 DB화 및 영상자료 확보 7도토리 전아람
710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고위험병원체 등 병원체 관련 법령 정비 방안 마련 연구 7도토리 전아람
710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K-드론 기업 정보 조사 및 Korea Drone Industry Book 제작 위탁용역 9도토리 전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