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COVID-19 이후 일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韓 기업의 진출 전략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44 | |
---|---|---|---|---|---|---|
용량 | 3.02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COVID-19 이후 일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韓 기업의 진출 전략.pdf | 3.0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6-05 |
---|---|
출처 : | KOTRA |
페이지 수 : | 64 |
[ 목 차 ]
Ⅰ. 코로나19 이후 일본의 소비지출 변화와 특징
1. 코로나19 이후 일본의 소비지출 변화
2. 오프라인과 온라인 시장 구조 변화
Ⅱ. 일본의 소비트렌드 변화와 일본기업의 대응 사례 / 11
1. 온라인 소비 확산과 언택트 마케팅
2. 건강·환경 중시 가치관 변화
3. 원격근무 활성화와 솔루션 수요 확대
4. 집콕과 홈 엔터테인먼트 확산
Ⅲ. 우리기업의 대일 진출전략 / 44
1. (K-소비재) 소비자 접점 확대를 위한 D2C 서비스 다각화
2. (K-푸드) 배달식, 가정식, 건강식 수요 확대를 겨냥
3. (K-디지털) 고객맞춤형 솔루션으로 시장 공략
4. (K-웹툰) 일본 현지 파트너 협력을 통해 진출 가속화
참고문헌
□ 코로나19 이후 ‘20년 일본의 月평균 소비지출은 최대 감소폭을 기 록한 반면, 인터넷 쇼핑 지출은 최고치를 기록 ◦ ’20년 일본의 月평균 소비지출(2인 이상 세대 기준)은 전년대비 5.3% 감소한 27만 7,926엔을 기록 - 외출자제, 영업시간 단축으로 백화점, 쇼핑센터, 음식점 매출이 급락 ◦ 한편, ’20년 일본의 月평균 인터넷 쇼핑지출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16,399엔을 기록하며, 최고치를 기록 - 세대주 연령별 인터넷 쇼핑지출 증가율(전년대비)은 70세 이상 (23.4%)과 60~69세(15.7%)가 높은 증가율을 보임. - 고령자 세대는 신선식품, 건강식품 등 인터넷 쇼핑 구입이 급증 □ 코로나19 이후 일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일본기업의 대응사례 ◦ (언택트) 생활 전반에서 비대면화가 요구,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까지 언택트 수요를 발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 * (ZOZO) 고객기반 맞춤형 기술(앱 피부측정)로 차별화를 모색, 화장품 EC 진출 * (고스트 레스토랑) 점포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 배달전문·임대주방 등장 * (스카이락) 매장 제공 식품을 고도의 냉동 포장 기술로 배송 전용 비즈니스 개시 * (포켓마르쉐, 타베초쿠) 지산지소 농수산물 EC 플랫폼, 지역경제 활성화 ◦ (건강·환경) 건강과 환경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 증가, 상품의 안 전성과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경영전략 변화가 요구 * (Eco Ring) 리사이클을 통한 환경문제 해결, 출장 및 택배 매입 등 서비스 강화 * (JR동일본스타트업) 식품 손실을 줄이기 위해, 푸드 셰어링 서비스 도입 * (아사히음료) 플라스틱 재활용 확산을 위해 라벨리스 음료 생산 확대 * (Kirin, Meiji) 면역기능 강화 및 다이어트 제품 출시로 대응 요 약 코로나19 이후 일본의 소비트렌드 변화와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2 ◦ (원격근무) 코로나19를 계기로 원격근무뿐만 아니라 워케이션 확산 * (유망품목) VPN 접속 확대를 위한 서버 및 클라우드 시스템, 홈오피스 환경구축 을 위한 IT기기, 업무 전자화를 위한 솔루션 수요가 급증 * (Jinjer) 원격근무 정착을 위해 인사 DB를 통합하고 업무자동화를 실현 ◦ (홈 엔터테인먼트) 집콕증가로홈엔터테인먼트, 홈인테리어 수요 증가 * (HIKKY) 가상과 현실이 혼합된 메타버스를 활용, 통신·소매·의류 등 다양한 업종을 대상으로 VR 마케팅 확대 * (닌텐도) 가정용 게임 소프트 개발에 주력, 남녀노소 모두를 위한 콘텐츠 개발 * (Style Factory) DIY 제품과 장소를 동시 제공, 맞춤형 생활 소비 욕구를 해소 □ 일본 진출을 위해 온·오프라인을 통한 소비자 접점 확대, 고객 맞춤형 제품·서비스 개발, 현지 파트너십 활용 전략이 필요 ◦ (K소비재) 소비자 접점 확대를 위한 D2C 서비스,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마케팅 채널 다각화가 필요 - 비대면 마케팅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라이브 커머스, 가상 매장 투어, 온라인 카운셀링 등 다양한 플랫폼을 연계한 전략이 요구 ◦ (K푸드) 배달식, 건강식, 가정식 수요 확대를 겨냥한 제품개발과 홍보 - 헬스·건강 및 면역력 증진 식품의 신규 여성 고객 대상의 맞춤형 제품 개발, 안전성과 환경 의식을 고려한 포장 및 용기 활용 - 일본의 제4차 한류를 마케팅에 활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한식 조리법의 세세한 정보를 전달하며 홍보 효과를 극대화 ◦ (K디지털) 현지화와 중소기업에 특화된 업무자동화 솔루션 유망 - 현지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AS 대응 구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상세한 매뉴얼 등 현지 수요를 반영한 제품을 개발 ◦ (K웹툰) 세계 1위 일본 만화 시장에서 현지 유력 출판사와의 협력을 통해 웹툰 플랫폼으로서 매력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