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4
용량 2.0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pdf 2.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우리나라 데이터 경제는 마케팅, 광고, 정보제공업 등 간접매출의 비중이 줄어들고 데이터의 직접 활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음 ▶ 이는 기업과 산업 전반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수요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데이터 산업 또한 연구개발과 업무 프로세스 개선 방향으로 고도화되는 경향을 반영 ◈ 우리나라 정부는 민간과 공공영역의 디지털 전환과 산업의 스마트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 ▶ 이를 통해 산업, 연구, 공공 등 여러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 실사례 축적과 데이터 경제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노력 ◈ 향후 데이터 경제는 정보의 양과 데이터 독점을 통한 우위보다는 활용 능력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며, 제도 개선과 인력양성을 포함한 지속,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필요 ▶ 이를 위하여 기존 데이터 보유 기업의 역량 강화와 더불어, 분석 역량을 갖춘 스타트업들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경제적 유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 개편이 필요 ◈ 우리나라 데이터 경제의 확장세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에서 발간하는 ‘데이터산업 현황조사’의 데이터 산업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매년 발표하는 데이터 산업 현황조사에서는 데이터 산업을 ①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②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③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으로 구분(대분류)하여 파악하고 있으며 세부시장의 정의와 예시는 다음과 같음 ▶ 회색 음영 부분은 최근 성장세가 높은 분야로써 이후 부연 설명함 주요내용 2 AI TREND WATCH 대분류 중분류 주요 내용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9조3,752억원 (2020(추정)) 데이터 판매 및 중개 서비스업 (분석 데이터 제공 서비스 포함*) - 온오프라인, API, 자사 유통시스템을 통한 B2B 원천 데이터 판매 서비스 (예: API 스토어, 데이터스토어, 오픈마켓 등), - 데이터 유통/중개 플랫폼, - SNS 대화 감정분석 서비스, 여론분석/상권분석 서비스, 부정사용방지 및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고정데이터/앱데이터 분석 서비스 정보제공 서비스업 - 정보를 연결하거나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서비스와 정보매개서비스, - 주제 분야별 관련 데이터의 검색 기능과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특 허, 기업, 법률, 기상, 교통정보 서비스, 버스위치안내 서비스 등)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7조4,361억원 (2020(추정)) 데이터 구축·가공 서비스업 - DB설계/구축, 데이터 이행, - 대량 데이터 형태를 정비/변환하고 가공 전 rawdata를 저장하거나 데이 터화하는 서비스 데이터 관련 컨설팅 서비스업 - 데이터 설계/품질 컨설팅, 데이터분석/활용 컨설팅 - DB성능개선 컨설팅 - 데이터거버넌스(보안, 운영 포괄) 컨설팅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2조4,623억원 (2020(추정)) 데이터 수집·연계 솔루션 개발·공급업 - 검색엔진/Query 솔루션, 공정로그/웹 크롤링 솔루션, - 데이터 통합 및 연계 솔루션(DB에서 데이터 추출, 정제, 가공, 적재 등) - 데이터 교환 및 개방 솔루션(기업간 상호교환 프로토콜, 거래추적,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솔루션 개발·공급업 - 관계형, 비관계형 DB 관리 솔루션, - DB 적용 솔루션, 기타 솔루션 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리포팅(보고서 생성 등) 지원 솔루션, - 데이터 마이닝/텍스트 마이닝 솔루션, - 웹데이터 분석 솔루션, - 신문기사/논문/특허 등 필요 정보 추출 솔루션, - 음성/영상 데이터 추출/분석 솔루션, - 소셜 미디어 데이터 추출, 분석 솔루션, - 실시간 데이터 분석 솔루션, - 데이터 시각화 솔루션, - 데이터 정제, 중복제거, 어노테이션 도구 및 솔루션 데이터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 기업/기관 전사 데이터 현황 파악 및 관리 솔루션, - 데이터 정의/표준 등 메타데이터 관리/적용 솔루션, - 데이터 품질 측정/평가/흐름 관리 솔루션, - DB 백업/복구 및 모니터링/해결 솔루션 데이터 보안 솔루션 개발·공급업 - DB보안, 개인데이터 보안 (가명화, 익명화 및 데이터 위치 추적, 접근 모니터링)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솔루션 개발·공급업 - 내외부 데이터 수집/정제/분석/시각화 패키지, - 오픈 소스 SW 통합 솔루션 * 2019년까지 별도 중분류였으나, 2020년부터 데이터 판매 및 중개서비스의 소분류로 통합 주: 회색 음영 부분은 최근 성장세가 높은 산업 분야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1), pp.11~12 내용을 토대로 저자 재구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08 성장동력산업 다크웹의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 주가 및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 및 주요 쟁점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NFT, 디지털 자산시장의 진화 1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장애물, 3대 위험 요소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9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속 한국 무역 날개를 달다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집값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날까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국준아
129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플랫폼 반독점법안 도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5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291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2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