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76
용량 1.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pdf 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 [이슈] 미국 경제의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경기회복세 둔화 전망도 제기되면서 향후 연준의 정책 대응과 시장 영향에 있어 불확실성이 확대  올 하반기 들어 성장 감속 하에서 고물가가 지속되는 ‘Slowflation 또는 Mild stagflation’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10월 CPI 발표 후 인플레 우려가 다시 확산 – 미 국채시장은 성장 감속과 고물가 지속 가능성을 반영하는 모습이며, 향후 인플레 향방과 통화정책 대응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리변동성이 확대  [시나리오] 연준 및 주요 IB의 기본 전망은 ‘골디락스’, 채권시장은 ‘슬로우플레이션’ 가능성을 높게 평가 중이며, 일각에서는 ‘과열’ 위험도 제기  골디락스: 잠재성장률(2% 내외)을 상회하는 회복세가 지속되고 공급망 병목도 완화되면서 인플레가 2~3%에서 안정화되는 것으로 현재 연준과 다수 IB의 전망이 이에 해당 – 이 경우 금리인상은 내년 말 1회 또는 내후년에 시작되지만 경기회복세 지속으로 금리인상 사이클 고점은 2.5% 수준으로 시장 전망(1.5% 내외)보다 높아질 가능성. 내년 장기금리는 상승 압력을 받고 중단기물은 안정화되면서 장단기금리차는 확대  슬로우플레이션: 높은 물가압력이 지속되는 동시에 부양효과 감소, 중국 리스크 등의 하방위험으로 성장률이 둔화되는 완만한 형태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 예상을 상회하는 물가압력으로 연준은 결국 내년 중반부터 금리를 인상하고 연말 까지 추가 1~2회 인상. 경기회복 기간이 짧아져서 고점은 1.5% 수준에 그칠 소지 – 조기 금리인상 전망에 따라 단기금리가 추가 상승하고, 장기금리는 인플레 압력 지속과 성장세 감속(낮은 정책금리 고점) 요인이 상쇄되어 소폭 상승에 그칠 전망  과열: 경제가 완전한 정상화 과정에서 과열되고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지만 연준의 뒤늦은 대응(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해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시나리오 – 현재 연준이 금리인상을 인내한다는 기본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점차 물가위험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동 시나리오가 실현될 가능성은 낮은 편  [전망 및 평가] 물가의 상방위험을 고려할 때 ‘슬로우플레이션’ 가능성이 가장 높고, 따라서 연준의 금리인상 경로를 반영하면서 장기금리는 완만히 상승할 전망. 다만 경기와 물가 향방의 불확실성이 적지 않은 만큼 높은 금리변동성이 예상 권도현 | 부전문위원 (3705-6148) 김윤경 | 자본시장부장 (3705-6150) KCIF 2 Issue Analysis  [이슈] 미국 경제의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경기회복세 둔화 전망도 제기되면서 향후 연준의 정책 대응과 시장 영향에 있어 불확실성이 확대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올 하반기 들어 고물가 장기화 가능성과 성장 하방위험의 부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에 관한 우려가 지속 제기 – `70년대 미국은 두 차례 오일쇼크 등으로 물가가 급등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났으며, 연준이 인플레 안정을 위해 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하면서 결국 깊은 경기침체로 연결 – 최근의 스태그플레이션 논란은 공급 병목과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인플레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 – 경기회복세가 둔화되더라도 침체나 정체 수준은 아니라는 점에서 `70년대 상황의 재현 가능성은 낮다는 인식 속에서도 고물가로 인해 시장의 의구심은 지속 • 미국의 10월 CPI 상승률이 6.2%, 근원 CPI는 4.6%로 컨센서스(5.9%, 4.3%)를 상회  금리 동향: 미국의 국채시장은 성장 둔화와 고물가 지속 우려를 반영하는 모습이며, 인플레 향방과 통화정책 대응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변동성이 확대 – 경기회복세 정점 통과 인식으로 4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장기금리는 9월 FOMC 이후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 및 고물가 장기화 우려로 반등한 후 최근 에는 인플레이션과 성장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확대 – 중단기(2~5년) 금리는 인플레 압력에 대응한 연준의 조기 금리인상 전망이 강화 되면서 상승세를 지속했으며, 그 결과 장단기금리차가 축소 • 10년·30년 금리는 3월말 고점 이후 각각 19bp, 51bp 하락한 반면(1.74%→1.55%, 2.41%→1.90%), 2년·5년 금리는 각각 35bp, 28bp 상승(0.16%→0.51%, 0.94%→1.22%)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08 성장동력산업 다크웹의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 주가 및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 및 주요 쟁점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NFT, 디지털 자산시장의 진화 1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장애물, 3대 위험 요소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9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속 한국 무역 날개를 달다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집값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날까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국준아
129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플랫폼 반독점법안 도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5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291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2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