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1
용량 1.2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pdf 1.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 [이슈] 팬데믹 기저효과가 감소했지만 금년에도 거주자들의 해외증권투자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확대  [특징] 금년 거주자 해외증권투자의 주요 특징은 ▲사상 최대 규모 ▲3각 체제 구축 ▲주식 선호 현상 등  사상 최대 규모 : `21년 1~9월 중 국내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는 $580억으로 월평균($64.4억) 기준 사상 최대 규모  3각 체제 구축 : 작년부터 개인이 연기금ㆍ기관에 비견되는 주요 투자 주체로 부상 하면서 세 투자자군(群)이 균형을 이루기 시작했으며 동 현상이 금년까지도 지속  주식 선호 : `21년 전체 해외증권투자 중 91%는 주식 투자에 해당. 글로벌 저금리 지속, 높은 환헷지 비용 등으로 해외채권투자 유인이 저하  [전망] 향후에도 국내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는 △수익률 추구(Search for Yield) △코로나19 완화 △환헷지 비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수익률 추구(Search for Yield): 미 테이퍼링에 따른 신흥국 자본 유출 및 중국 경기둔화 우려 등에 기반해 해외주식과 국내주식간 차별화가 발생할 것이라는 기대감 등이 해외투자 심리를 자극할 전망  코로나19 완화 : 팬데믹 이후 현지 실사의 어려움으로 크게 감소했던 대체투자도 최근 국가간 이동제한이 다소 완화되면서 자산운용사 등을 중심으로 재개될 조짐  헷지비용 감소 : 최근 스왑포인트 및 CRS 금리가 오르면서 환헷지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관투자가(헷지 비율 高)의 해외 증권투자도 확대될 가능성 이혁균 | 책임연구원 (3705-6168) 이상원 | 부전문위원 (3705-6211) Issue Analysis KCIF 2 Issue Analysis – 경상수지 흑자는 9월 연누적 $701억을 기록하면서 연간 정부 전망($770억) 초과 달성이 유력. 본원소득수지를 중심으로 상품ㆍ서비스가 고르게 개선된 데 기인 – 반면 원/달러 환율은 금년 초 중기 저점(1/4일 1,082.1원)을 기록한 이후, 10월 중 1,200원에 일시적으로 도달하는 등 상승압력이 우세한 상황이 지속  [특징] 금년 거주자 해외증권투자의 주요 특징은 ▲사상 최대 규모 ▲3각 체제 구축 ▲주식 선호 현상 등  사상 최대 규모 : `21년 1~9월 중 국내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는 $580억으로 월평균($64.4억) 기준 사상 최대 규모 – 보험사ㆍ자산운용사의 해외증권 투자가 크게 늘어나며 FX스왑 시장을 왜곡 시켰던 `16년(월평균 $52.7억) 및 `17년 ($62.8억)을 상회 – 동 기간 경상수지 흑자($78억)의 4/5에 해당하는 규모로, 경상수지 흑자에서 비롯한 외화공급 우위를 상당 부분 상쇄했을 것으로 추정  3각 체제 구축 : 작년부터 개인이 연기금ㆍ기관에 비견되는 주요 투자 주체로 부상 하면서 세 투자자군(群)이 균형을 이루기 시작했으며 동 현상이 금년까지도 지속 – 개인(`21년 해외투자 중 비중 28%) : 글로벌 주가 폭락을 저점 매수 기회로 인식한 개인투자자들의 신규 유입으로 순투자 증가(월평균 `20년 $15.7억 → `21년 $17.6억) – 연기금(37%) : `20년에 비해 소폭 둔화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국내 주요 투자자군 중 가장 큰 규모의 해외증권투자를 지속(`20년 $23.4억 → `21년 $22.7억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08 성장동력산업 다크웹의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 주가 및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 및 주요 쟁점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NFT, 디지털 자산시장의 진화 1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장애물, 3대 위험 요소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9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속 한국 무역 날개를 달다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집값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날까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국준아
129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플랫폼 반독점법안 도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5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291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2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