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몽골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13
용량 1.06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몽골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pdf 1.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1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9 

□ 몽골은 아시아 북방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7배이나 인구는 351만 명에 불과하여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국가임. 국토의 대부분이 해발 약 1,500m의 고원지대이며, 남북으로
중국,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음.

□ 구리, 석탄, 형석 등 80여 종의 광물자원을 보유한 세계적인 자원부국으로, 광업 부문은 GDP의
20% 이상 및 총수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하여 국가경제를 이끌고 있음. 다만, 3C(China, Copper,
Coal) 및 외국인직접투자(FDI) 의존도가 높아 대외적 요인에 의한 경기 변동성이 높음.


□ 중국, 러시아에 치중된 정치·경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제3의 이웃’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
본, 인도, 프랑스와 교역하는 등 외교·경제 다각화를 노력 중임.


□ 관광업 활성화를 위한 ‘GoMongolia’ 슬로건 채택, 인도 소프트론을 활용한 최초의 정유공장 건설,
완료 시 세계 우라늄 생산의 4%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우라늄 광산 프로젝트 추진 등 다양한
성장 가능성이 존재함.

 

광물 수출 및 민간소비 증가, 관광업 활성화로 2022~23년 연속 5%대 경제성장 추정

 

- 몽골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 발생으로 인한 전 세계적 경기침체와 무역 감소, 특히 중국의 제로코로
나 정책으로 2020년 –4.6%의 역성장을 기록함. 이후 중국 경제의 리오프닝, 오유 톨고이 광산 채굴
개시 등에 힘입어 2022년 5.0%의 플러스 성장을 회복하였으며, 2023년에는 수출 성장세 지속과 임금
인상 및 민간소비 증가에 힘입어 5.5%의 성장을 달성한 것으로 추정됨.


‑ 몽골 통계청의 2023년 GDP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GDP에서 광업의 비중은 5.2%p 증가한 반면 농업
과 서비스업 비중은 각각 2.8%p, 0.9%p 감소해 몽골 경제의 광업 의존도가 증가함. 산업별 GDP 성장
기여도는 전년 대비 광업이 2.58%p, 운송업이 1.77%p 각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며, 2024년 국제철
도협력기구(OSJD)에서 합의된 몽골의 국제 화물량은 전년 대비 150만 톤 증가한 2,169만 톤임.

 

--------------------------------------------------------------------------------------------------------------------------

 

스크린샷 2024-04-19 141520.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060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13도토리 박민혁
7059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2024년 ICT 표준화서비스 활용 가이드 7도토리 박민혁
7058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2023 국가지능정보화백서 30주년 기념 13도토리 박민혁
70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논문 데이터로 본 글로벌 양자기술 13도토리 박민혁
70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 영향을 끼치는 중국 크로스보더 플랫폼 13도토리 박민혁
70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위치정보 산업 최신 동향 5도토리 박민혁
70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차전지, 양극재 3월 수출 동향 3도토리 박민혁
705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모듈식 양자네트워크, 생성형 AI 기술동향 7도토리 박민혁
7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류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김민성
70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성장과 혁신 정책 11도토리 김민성
7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부동산 시장 최신 동향 2024 5도토리 김민성
7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후변화, 재난안전 등 주요 산업분야 위기관리 7도토리 김민성
70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건설 산업 최신 동향 2024 5도토리 김민성
7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KIET 경제, 산업동향 7도토리 김민성
7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KOSI 중소기업 동향 13도토리 김민성
704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초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7도토리 나혜선
704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수소차 보급확대를 위한 인프라 현황분석 및 확충방안 마련 9도토리 나혜선
704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센텀 디지털 혁신거점 기반 지역혁신 프로젝트 기획 및 예비타당성 조사대응 연구 9도토리 나혜선
704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산업발전부문 목표관리제 운영성과 분석 및 개편방안 연구 7도토리 나혜선
704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마모셋 자원 거점은행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