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5
용량 439.2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과 시사점.pdf 439.2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과 시사점 2021. 10. 29.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5G 서비스 보편화, 코로나發 언택트 확산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폭발적 으로 늘어나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대형화, 친환경 요소가 강화되는 추세 데이터 처리·저장 수요 급증과 데이터센터 대형화에 따른 운영비 절감 효과로 서버 10만대 이상을 갖춘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데이터센터가 빠르게 증가 글로벌 탄소배출량의 0.8%에 해당할 정도로 탄소 다(多)배출 업종으로 글로벌 IT기업을 중심으로 전력소비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해 외부 냉기 활용, 신재생에너지 이용과 에너지효율 개선을 추진 Ÿ 국내의 경우 자연 냉기를 이용하거나 빙축열 시스템을 도입하여 냉각장치 효율을 높이고 있는 수준 이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활용은 기획 단계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2021년 1,851개에서 2025년 총 2,300여개로, 국내에서도 2025년까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5개를 포함하여 30여개가 늘어나 190여개에 달할 전망 그린 데이터센터의 확산으로 단기적으로는 탄소배출 저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건물에 너지관리 업종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고, 중장기적으로는 늘어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대체하는 추세가 강화되면서 태양광, 풍력 산업의 성장이 예상 Ÿ 금융 측면에서도 데이터센터의 대형화와 친환경 설비투자 확대로 초기 설비투자(capex) 부담이 가중 되면서 대규모 자금 조달에 용이한 리츠(REITs) 시장이 조성 금융회사는 그린 데이터센터 연관 기업의 성장에 따른 직접적인 대출 수요 뿐 아니라 친환 경 부동산인 데이터센터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펀드와 리츠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할 필요 Ÿ 그린 데이터센터 관련 금융상품은 ESG(지속가능경영) 강화 측면에서도 활용 가능 작성자: ESG·기업금융연구실 성지영 수석연구원 (02-2173-0561) 책임자: ESG·기업금융연구실 임재호 실장 (02-2173-0583)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과 시사점 1 I.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 현황 n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5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308 성장동력산업 다크웹의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7 성장동력산업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 주가 및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30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 1도토리 국준아
130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 및 주요 쟁점 1도토리 국준아
1304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이 정유업에 미칠 영향과 국내 대응 전망 3도토리 국준아
1303 성장동력산업 NFT, 디지털 자산시장의 진화 1도토리 국준아
1302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1도토리 국준아
1301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장애물, 3대 위험 요소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30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9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속 한국 무역 날개를 달다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집값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날까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국준아
129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플랫폼 반독점법안 도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5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291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2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