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부재정 변동에 의한 세대별 순조세부담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76
용량 1.93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부재정 변동에 의한 세대별 순조세부담.pdf 1.9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04 
출처 : 한국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54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세대간 회계의 개념 및 추계과정
  1) 세대간 회계의 개념
  2) 세대간 회계의 추계 과정

 2. 세대간 회계의 산출 결과
  1) 2013~2019년간 세대간 회계
  2) 재정의 유지가능성 및 세대간 재분배 효과
  3) 기준 연도 2018~2019년간 회계의 변화

Ⅲ. 결론

 


 

□ 본 연구는 세대간 회계를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19년 기간 동안의 정부 재정이 세대별 순조세부담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이 과거의 순조세부담을 무시하고 현재와 미래의 순조세부담의 가치를 평가한 전망적 회계(FGA)에 치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순조세부담을 추계한 회고적 회계(RGA)를 FGA에 합산하여 얻은 전생애 회계(FLGA)를 기준으로 세대별 순조세부담을 비교하였음. - 현재 생존하고 있는 세대와 미래세대가 전체 생애동안 부담하여야 하는 순조세부담(=조세 및 사회보험료-이전수입)인 FLGA를 기준으로 세대별 비교를 함으로써 의미 있는 세대별 비교가 될 수 있음. □ 2013년부터 2019년 기간의 각 연도를 기준연도로 상정하여 추계한 세대간 회계에 의하면 일제강점기, 미군정기, 대한민국의 재정정책이 세대간 불평등을 유발한 것으 로 나타남. ◦전생애 회계(FLGA)를 세대별로 비교하면 현재 생존하고 있는 현재세대보다 미래세 대의 순조세부담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현재세대 중에서도 노년층보다 청년층의 순조세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과거와 현재의 재정정책은 조세부담을 노년층으로부터 청년층으로 그리고 현 재세대로부터 미래세대로 전가되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재정은 유지가능하지 못하며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대폭적인 순조세부담 의 상향조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한 미래세대의 순조세부담의 대폭적인 증가가 불가 피 할 것임. ◦정부의 기간간 예산제약을 충족시키기 위해 조세부담을 현행 수준의 50%를 상회하 는 폭으로 상향조정하여야 함. ◦조세부담의 상향조정과 함께 이전지출을 동일 비율 하향조정할 경우 현행수준의 8 정부재정 변화에 따른 세대별 순조세부담 30% 이상의 조세부담 상향조정 이전지출 하향조정이 필요함. ◦재정의 유지가능성 지표인 재정건전성 회복을 위한 필요 조세 조정규모와 필요 조세- 이전지출 조정규모가 연도에 따라 변화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기간 동안 다소 지표가 호전되었으나 2019년 들어 대폭적인 지표의 악화가 나타났음. □ 2019년 재정수지의 악화로 인해 정부재정 유지가능성 지표가 대폭적으로 악화되었 으며 또한 순조세부담의 세대간 불평등도 심화되었음. ◦2018년과 비교하여 필요 조세(조세-이전지출) 조정규모가 약 7∼8%P(4∼4.5%P) 상향 조정되어야 하며, 이로 인한 미래세대의 순조세부담 증가는 이들의 생애소득의 3.5% 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2018∼2019년 기간 동안의 정부 재정 건전성 악화는 조세 및 복지정책의 대폭적인 변화보다 정부지출의 전반적인 증가로 인한 재정수지 악화와 정부부채의 증가에 기인 한 것으로 사료됨. □ 2020년의 재정수지는 2019년보다 악화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재정 건전성 지표 와 세대간 불평등 지표가 악화되었을 것으로 예상됨. ◦정부 재정의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비용-효과적인 정부지출 체계 개편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재정 건전성 회복을 위한 재정정책 개편이 이루어져야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88 성장동력산업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87 성장동력산업 COVID-19가 산업과 문화에 미친 영향 3도토리 국준아
1286 성장동력산업 오일쇼크 발 슬로플레이션 우려 증폭 - 국제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85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84 성장동력산업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1도토리 국준아
1283 성장동력산업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1도토리 국준아
1282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계약에 기초한 DeFi의 활용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281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80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9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8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77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무역 장벽의 실태와 시사점 :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조정희
1276 성장동력산업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5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국가 발전 모델의 제안 3도토리 조정희
1274 성장동력산업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73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심화 중 소프트패치 가능성 염려 3도토리 조정희
1272 성장동력산업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71 성장동력산업 EU의 사회적 분류체계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0 성장동력산업 빅테크와 은행의 협업 확대 필요성 1도토리 국준아
1269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인식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