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일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주요 현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8.8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독일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주요 현황과 시사점.pdf 8.8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제조업 현황) 독일 경제에서의 제조업 비중은 GDP 대비 19.9%이며,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9.8%(’19년 자료 기준)  기계 및 설비, 자동차, 철강, 화학제약 등이 주요 제조업에 속하는 가운데, 투자금액 및 매출액은 자동차 산업이, 고용창출은 기계 산업이 주도 - 독일의 제조업 PMI는 유럽 전체와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에 있는 등(’15~’21) 독일의 제조업 경기가 유럽 전체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며, GDP 중 제조업 비중 역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 -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발표한 세계 제조업 경쟁력 지수(Competitive Industrial Performance Index, CIP Index)에서 11년 연속 1위를 기록 ■ (주요 정책 현황) 독일은 간접 지원 중심의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스마트제조 관련 주요 정책으로는 첨단기술전략, 인더스트리 4.0,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등을 추진  (첨단기술전략) 독일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혁신을 주도하고, 이렇게 발굴된 신기술을 통해 사회경제적 가치창출에 기여하는 과정을 위한 정책으로, 2006년 최초 수립 이후 4년 주기로 보완·발전 - 가장 최근인 2018년에 발표된 첨단기술전략 2025는 신 첨단기술전략의 포괄적 혁신전략을 기반으로 기술혁신을 통해 대응해야 할 사회적 도전과제를 구체화  (인더스트리 4.0) 독일 스마트제조 및 디지털 전환의 핵심 정책으로, 공급자 측면 (Supplier)과 시장 측면(Market)에서 독일을 선도적인 위치에 올려놓는 이중 전략 (Dual strategy)으로 추진 - 추진과정에서 더딘 표준화, 중소기업의 소극적 참여, 인력 부족, 보안 문제 등의 한계를 노출하였으며, 이는 추후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의 출범으로 연계 요 약 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인더스트리 4.0 운영과정 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관련된 논의를 확산하기 위하여 정부가 참여하되 구체적인 전략은 민간 주도로 협의 하에 도출되며, 정부는 조정의 역할을 담당 - 특히 중소기업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부진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정부가 함께하는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 - 새로 출범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은 제조공정의 디지털화, 표준화, 데이터 보안, 제도정비 및 인력육성을 핵심 추진내용으로 포함  그 외에도 다양한 스마트제조혁신 관련 전략 및 프로그램을 추진 - 스마트 서비스 벨트(Smart Service Welt): ICT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와 공장에서 제조 과정을 거친 제품을 연결하여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융합한 새로운 방식의 데이터-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전략 - 경제/산업을 위한 디지털 기술 사업(PAiCE): 제조기술연구, 5G산업 인터넷, 제조업 에서 신뢰할 수 있는 무선통신, 프로젝트 간 상호교류(국가적 차원의 지원 활동 결과물과 연계·통합)와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연방경제에너지부(BMWi)가 주관 - 중소기업 디지털화 투자 지원사업(Digital Jetzt): 중소기업의 투자 촉진 및 디지털화 실현을 목적으로 최대 5만 유로 까지 지원 (기업 간 네트워크나 가치사슬 구축 시 최대 10만 유로까지 지원) - 산학협력 클러스터 It’s OWL: 2011년 설립되어서 연방교육연구부(BMBF)가 주관 하는 클러스터로 현재 산학연기관 174개 회원을 보유한 Industrie 4.0 관련 최대 규모의 핵심 클러스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69 성장동력산업 통화 안정 증권시장의 구조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68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강화 속 소프트패치 가능성 우려 - 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2021년 2분기) 1도토리 조정희
1267 성장동력산업 정부재정 변동에 의한 세대별 순조세부담 7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독일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주요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65 성장동력산업 미래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을 보장하기 위한 도시환경 및 에너지 지속 가능성에 대한 평가 방법 1도토리 조정희
1264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주권 회복을 위한 유럽 공동 개발 계획 1도토리 조정희
1263 성장동력산업 MZ세대를 공략한 후불결제(BNPL) 서비스의 부상 1도토리 조정희
1262 성장동력산업 사회적 딜레마와 ESG 탄소저감 게임 1도토리 국준아
1261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기업승계 촉진을 위한 공익법인 및 종류주식 활용방안 1도토리 조정희
126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259 성장동력산업 지금은 메타버스에 올라탈 시간 1도토리 조정희
1258 성장동력산업 NFT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자산(지식재산)의 가치창출 1도토리 국준아
1257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 및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56 성장동력산업 2022년 미국 경제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55 성장동력산업 중소벤처기업, 힘(HIM)으로 지속가능성장 이루자 1도토리 조정희
1254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투자시장의 ESG도입 현황과 향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253 성장동력산업 로열티 프로그램을 활용한 고객유치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52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51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5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