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사회적 딜레마와 ESG 탄소저감 게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34
용량 352.3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사회적 딜레마와 ESG 탄소저감 게임.pdf 352.3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지속가능성 문제: 물리적·사회적 차원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에 의존한 산업사회의 지속가능성 문제는 두 가지 차원에서 볼 수 있다. 물리적 차원으로는 화석연료의 사용이 자원고갈 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하며, 특히 지구온난화 문제가 가장 심각한 위험 이 되고 있다. 사회적 차원으로는 빈부격차와 인권 문제가 제기하는 사회 시스템의 정당성 문제이다. 시장경제는 수요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면서 발전 과 풍요를 가져왔으나, 외부효과로 발생하는 공해문제와 구매력을 결여한 빈자(貧者)의 필요는 반영되지 못하는 미비점 때문에 체제의 지속가능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자원사용의 외부효과를 내부화하고 빈자들을 배려하여 체제의 정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화두인 ESG(환경문제, 사회문제, 지배구조 문제)에 대하여 죄수의 딜레마의 한 유형인 ‘탄소 저감 게임’을 활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탄소저감 게임 경기자 1과 경기자 2의 두 명의 경기자가 있으며, 각각에게 기존 방식대로 탄소를 배출하는 ‘현행유지(business as usual)’와 ‘탄소저감’의 두 선택지가 있다고 가정하자. 두 경기자 모두 ‘현행유지’할 경우에는 지구 온난화 문제가 악화되어 두 경기자에게 (0, 0)의 보수가 주어지며, 모두 ‘탄소저감’ 선택 시에는 비용은 발생하지만 온난화 문제가 회피되어 (6, 6)의 보수가 주어진다 고 하자. 한 경기자만 ‘탄소저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온난화 문제가 발생하 *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 개인의견으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논 단 2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Bi-Weekly Hana Financial Focus 경기자 2 경기자 1 탄소저감 현행유지 탄소저감 (6, 6) (-3, 9) 현행유지 (9, -3) ( 0, 0) 지구 온난화 문제는 사적 합리성 추구가 사회적 불합리를 초래하는 사회적 딜레마. 며, ‘탄소저감’을 선택한 경기자는 –3의 보수가 주어지고, ‘현행유지’하는 경기자는 9의 보수가 주어진다고 하자. 다음 표에 각 상황별 보수(경기자 1 보수, 경기자 2 보수)를 표시하였다. [탄소저감 게임 1: 순수 이기적 선호의 인간] ‘이 게임에서 어떤 상황이 발생할 것인가?’를 예측해 보자. 먼저 경기자 1의 입장에서 경기자 2의 두 전략에 대한 최선의 선택을 분석해보자. (i) 경기자 2가 ‘탄소저감’을 선택한다고 하면, 경기자 1은 ‘탄소저감’을 선택하 면 6의 보수를 얻고, ‘현행유지’를 선택하면 9의 보수를 얻는다. 따라서 경기자 1은 경기자 2가 ‘탄소저감’을 선택할 경우에는 자기에게 더 이익이 되는 ‘현행유지’를 선택한다. 이를 게임이론 용어로 경기자 2의 ‘탄소저감’ 전략에 대한 경기자 1의 최적대응(best response)은 ‘현행유지’라고 한다. (ii) 경기자 2가 ‘현행유지’를 선택한다면, 경기자 1은 ‘탄소저감’을 선택하면 –3의 보수를 얻고, ‘현행유지’를 선택하면 0의 보수를 얻게 되며, 따라서 더 높은 보수를 주는 ‘현행유지’를 선택한다. 즉, 경기자 2의 ‘현행유지’에 대한 경기자 1의 최적대응은 ‘현행유지’인 것이다. (i)과 (ii)에서 경기자 2가 어느 전략을 선택하든지 경기자 1은 ‘탄소저감’을 선택하는 것보다 ‘현행유지’를 선택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처럼 상대방의 모든 전략에 대하여 최적대응이 동일한 전략이 되는 경우에, 이 최적대응 전략을 ‘우월전 략(dominant strategy)’이라고 하며, 우월전략이 있는 경우 필연적으로 그 전략을 선택한다는 기본적 합리성을 상정한다. 즉 경기자 1에게 ‘현행유지’ 는 우월전략이며, 따라서 ‘현행유지’를 필연적으로 선택한다. 다음 경기자 2도 동일한 논리로 ‘현행유지’가 우월전략이 된다. 따라서 두 경기자 모두 ‘현행유지’를 선택하게 되어 이 게임에서는 전략조합 (현행유지, 현행유지) 가 균형이 된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탄소저감, 탄소저감)이 균형이 되지 않는 이유를 ‘Nash 균형’ 개념을 활용하여 설명해보자. Nash 균형은 어느 경기자도 그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이탈(unilateral deviation)할 유인이 없는 전략조합이 다. 즉, 모두가 특정 전략조합을 선택하자고 약속한 후에, 어느 경기자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88 성장동력산업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87 성장동력산업 COVID-19가 산업과 문화에 미친 영향 3도토리 국준아
1286 성장동력산업 오일쇼크 발 슬로플레이션 우려 증폭 - 국제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85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84 성장동력산업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1도토리 국준아
1283 성장동력산업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1도토리 국준아
1282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계약에 기초한 DeFi의 활용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281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80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9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8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77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무역 장벽의 실태와 시사점 :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조정희
1276 성장동력산업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5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국가 발전 모델의 제안 3도토리 조정희
1274 성장동력산업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73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심화 중 소프트패치 가능성 염려 3도토리 조정희
1272 성장동력산업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71 성장동력산업 EU의 사회적 분류체계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0 성장동력산업 빅테크와 은행의 협업 확대 필요성 1도토리 국준아
1269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인식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