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90
용량 747.1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pdf 747.1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08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양극화가 확대되고 기후변화 위험이 커지는 등 주주 자본주의의 한계가 드러남에 따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ESG 경영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실현을 통해 사회적 양극화, 환경오염 등 부정적 외부효과를 기업 스스로 내재화하는 것으로, 이해관계자 효용 증대를 목표로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간에 최적의 자원배분을 찾는다는 점에서 장기 주주가치 제고를 목표로 하는 CSR 경영과 구별된다.

이해관계자 효용 제고를 수단이나 목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도구적 또는 다원적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구분할 수 있다. 도구적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장기 주주가치를 증대시키는 수준까지 이해관계자 니즈를 반영하는 방식인데, 최종 목표가 주주 가치를 높이는 것이므로 사회적 양극화, 환경오염 등 주주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다원적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실현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만은 않다. 기업은 주주-이사회 간 대리인 문제, 사회적 가치의 측정 어려움 등으로 임계 수준 이상으로 ESG 투자를 집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ESG 경영을 활성화할 수 있는 유인부합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금융의 주도적 역할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로는 첫째, ESG 가치의 시장 거래를 활성화하여 기업들에게 ESG 투자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ESG 성과연계 금융 중개를 활성화하여 기업, 투자자, 정부의 효용 증대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ESG 가치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공정하게 평가하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비재무 공시 및 인증 체계 마련, ESG 지수의 개발, 리서치 및 투자 확대, 신용평가 개선 등 금융회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해 법과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기업이 단순하게 ESG 위원회를 설치하고 ESG 전담부서를 두는 것만으로는 ESG 경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사회와 CEO의 경영 철학과 인센티브 구조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서 기업이 이해관계자의 효용 증대를 목표로 사회적 가치에 자원을 배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사회 구성 및 역할과 책임의 재정립 등 지배구조 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투자 문화 유도를 위해 세제 개선, 수탁자 책임 강화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80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9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8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77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무역 장벽의 실태와 시사점 :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조정희
1276 성장동력산업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5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국가 발전 모델의 제안 3도토리 조정희
1274 성장동력산업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73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심화 중 소프트패치 가능성 염려 3도토리 조정희
1272 성장동력산업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71 성장동력산업 EU의 사회적 분류체계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0 성장동력산업 빅테크와 은행의 협업 확대 필요성 1도토리 국준아
1269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인식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1268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1+N’ 탄소중립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67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해리스 행정부,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승인 1도토리 조정희
1266 성장동력산업 원자재 가격 전망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65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64 성장동력산업 무역구조의 변화가 국내 고용구조에 미친 영향과 정책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263 성장동력산업 최근 경제 현황과 경기 판단(2021년 4분기) 3도토리 국준아
1262 성장동력산업 구직기간별 실업자 분포를 이용한 자연실업률 추정 1도토리 조정희
1261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유통과 데이터 품질 기술 현황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