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스마트시티분야]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1
용량 2.3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스마트시티분야]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시장분석.pdf 2.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0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 향상을 위하여 첨단 정보통신 기술
을 융합하는 스마트 수질 관리 시스템


❍ 하수 및 폐수 발생원의 수질 상황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 및 자동 전송하는
시스템, 측정, 전송된 데이터의 빅데이터 기반 관리/분석 기술 및 최적 처리 시
스템, 처리수의 스마트시티 용도별 수질 맞춤형 용수 확보/공급 기술이 포함됨


☐ 기술 융합 통한 물관리 기술의 혁신 및 스마트화


❍ 실시간으로 수집된 수자원 정보를 실시간수자원정보시스템, 강우 예측시스
템, 저수지용수 공급시스템 등 국가 물 관련 포털 시스템을 통해 수자원의
정보의 조사 및 관리


❍ 수자원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하천 등 조사 및 관리를 통해 맞춤형 수자원
조사 및 분석


❍ 기상/유역/댐/하천 모형을 연계한 실시간 수질 예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
하여 실시간 오염감시를 통해 수생태 복원기술 등 이상강우, 지진, 시설노후
화 등 위협요인으로부터 수자원시설 유지 및 안전 관리


❍ 실시간성 기상(기후) 데이터분석 및 의사결정을 통해 강우예측, 홍수관리, 용
수공급 등 수질관리 발전 운영에 적용

 

(2) 기술개발 필요성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과거와 다른 강우 패턴의 발생


❍ 우리나라의 경우, 동남아 지역 스콜 형태로 강우 패턴의 변화가 조금씩 관
측되고 있으며, 연간 약 1,200mm의 강수량이지만 여름 3개월 동안 900mm의
강우가 집중됨에 따라 수자원 관리 분야에서도 과거와 다른 대응 방안이 요
구되고 있음


❍ 현 상황을 고려해 동남아 지역 강우 패턴으로 변화는 수자원 안정성 확보에
더욱 많은 관심이 필요한 상황임


☐ 강우 이외의 스마트시티 내, 대체 활용 가능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 전
략 필요


❍ 도시에서 발생하는 하수에 대한 개념이 ‘처리하여 버리는 물’에서 ‘처리
하여 안정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수자원’으로 변화됨


❍ 대체 활용 가능한 수자원 관리 필요성은 인식하였으나 하수 수질 및 수량
관리를 위한 On-Line, On-Site, On-Time 측정의 어려움으로 효율적인 수자
원으로 활용하기에는 저장과 분배에서의 시간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음


❍ 최근 수질 센서, 처리, 관망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수자원 관리에도
On-Line, On-Site, On-Time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Smart Water Gird
의 현실적용이 빨라지고 있음

 

 

 

--------------------------------------------------------------------------------------------------------

 

스크린샷 2024-04-05 103745.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7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국가 감염병 RnD 성과관리 고도화 및 개선방안 연구 7도토리 노민우
807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고부가 터펜류 천연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고도화된 식물 플랫폼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7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VRFB 바나듐 전해액 성능 평가 7도토리 노민우
807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자동차산업 기업맞춤형 훈련로드맵 개발 7도토리 노민우
8075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공고]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공모 9도토리 노민우
8074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바이오산업본부 AAALAC-I 인증 획득 컨설팅 7도토리 노민우
807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ICT 시험인증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13도토리 노민우
807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문화콘텐츠 다양성 조사 7도토리 노민우
807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차세대 원자로 연구조합 설립 추진방안 수립 연구 3도토리 노민우
807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이차전지 첨단 전략 산업 글로벌 협력 지원 사업 5도토리 노민우
806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이탈리아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806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미국 유압 브레이커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806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GPU와 메모리가 선도하는 반도체 산업 2024 5도토리 국준아
80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기판 소재의 변화 - 유리기판 5도토리 국준아
80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 - 어려운 철근 시황 5도토리 국준아
80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 - 기아 CID와 관련주 5도토리 국준아
80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시장 수요 변화 및 향후 전략 5도토리 국준아
80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아 CEO 인베스터 데이 - 디테일의 변화 5도토리 국준아
80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3월 항공산업 동향 및 분석 3도토리 국준아
8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1분기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및 전망 1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