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스마트홈분야] 지능형 홈 IoT 컨트롤 시스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3
용량 2.43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스마트홈분야] 지능형 홈 IoT 컨트롤 시스템 시장분석.pdf 2.4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4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지능형 홈 IoT 컨트롤 시스템은 거주자의 편의를 위해 주택 내 다양한
가전기기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함


❍ 홈네트워크는 유선네트워크를 통해 가정용 기기를 관리제어하는 것이라면,
홈 IoT는 유무선 통합네트워크 및 IoT를 기반으로 하여 기기를 연결하는 차
이점이 존재함


☐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에서는 ‘주거환경에 IT 기술을 융합해 국민의
편익과 복지 증진, 안전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간 중심적인 스마
트 라이프 환경’을 스마트 홈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IoT를 적용하
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능형 컨트롤 시스템이라 할 수 있음


❍ 지능형 컨트롤러는 가전기기 등에 구성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환경 변화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 등의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치를 확인
하고, 특정 기기가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명령하고 관리하는 장치

 

(2) 기술개발 필요성


☐ 지능형 홈 IoT 컨트롤 시스템이 구현된 대표적 사례는 스마트홈으로 관
련 시장의 확대가 전망


❍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규모는 연평균 20%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기존의 단순가전에서 스마트 가전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홈 서비스 구현에 집중하고 있는 실정임


☐ IoT가 적용된 스마트홈 분야에서 현재까지 다양한 업종이 시장 장악을
위한 경쟁이 치열함


❍ IT 제조업체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제어시스템, 보안사업자, IoT 기능을 보유
한 가전제품 제조사, 이를 활용한 건설사 등이 관련 홈 IoT 분야 시장 장악
을 위한 표준화 및 서비스 개발에 집중함


☐ IoT를 적용한 스마트홈의 경우, 이전까지 매우 다양한 플랫폼이 존재하
였으나, 최근에는 사업자간의 적용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과 관련한 통
신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 중소기업은 매터 적용을 통해 글로벌 플랫폼에 연동 가능하므로 선제 대응
이 요구되고 있음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IoT 기술이며, IoT 기술은 선택이
아닌 필수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하는 스마트홈 분야에도
기본 기술임


❍ 한국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등 통신을 포함한 IT 기술에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이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분야임

 

 

 

 

-----------------------------------------------------------------------------------------------------

 

 

스크린샷 2024-04-05 09530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7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국가 감염병 RnD 성과관리 고도화 및 개선방안 연구 7도토리 노민우
807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고부가 터펜류 천연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고도화된 식물 플랫폼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7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VRFB 바나듐 전해액 성능 평가 7도토리 노민우
807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자동차산업 기업맞춤형 훈련로드맵 개발 7도토리 노민우
8075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공고]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공모 9도토리 노민우
8074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바이오산업본부 AAALAC-I 인증 획득 컨설팅 7도토리 노민우
807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ICT 시험인증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13도토리 노민우
807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문화콘텐츠 다양성 조사 7도토리 노민우
807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차세대 원자로 연구조합 설립 추진방안 수립 연구 3도토리 노민우
807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이차전지 첨단 전략 산업 글로벌 협력 지원 사업 5도토리 노민우
806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이탈리아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806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미국 유압 브레이커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806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GPU와 메모리가 선도하는 반도체 산업 2024 5도토리 국준아
80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기판 소재의 변화 - 유리기판 5도토리 국준아
80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 - 어려운 철근 시황 5도토리 국준아
80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 - 기아 CID와 관련주 5도토리 국준아
80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시장 수요 변화 및 향후 전략 5도토리 국준아
80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아 CEO 인베스터 데이 - 디테일의 변화 5도토리 국준아
80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3월 항공산업 동향 및 분석 3도토리 국준아
8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4년 1분기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및 전망 1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