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스마트홈분야] 스마트홈 위생시스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2
용량 2.61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스마트홈분야] 스마트홈 위생시스템 시장분석.pdf 2.6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7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실내의 쾌적한 환경 조성 및 가정의 위생을 위한 공기정화 기기 및 관
련 서비스를 의미함


❍ 대표적인 공기오염 물질인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
(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함.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
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뉨
-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
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음
- 미세먼지 성분으로 질산염(NO3-), 암모늄(NH4+), 황산염(SO42-), 탄소화합
물, 금속 등을 포함하고 있음

 

☐ 실내 공기 오염을 감지하는 센서장치, 정화장치, 동작제어장치로 구성됨


❍ 각 장치는 IoT 기술을 통해 연동될 수 있음. 각 장치는 실내정화시스템 본체와
일체형일수도 있고, 전체 또는 일부가 개별적으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음

 

☐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은 IoT 기술을 이용한 원격제어를 지원하
며, 자동구동도 가능함


❍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은 가전자체의 센서 또는 원격센서가 수집한
미세먼지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였음


❍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월패드, 냉장고스크린과 같은 단말을 통해 실내 미
세먼지 정보를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모바일 또는 원격으로 제어
로 공기정화기능을 구동함


❍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도 스마트홈 플랫폼과 연동하면서, 이러한 AI
인공지능스피커로 제어하거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


☐ 공기정화시스템이 환기시스템과 연동하거나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음


❍ 실내정화시스템으로 미세먼지는 제거하더라도, 이산화탄소나 휘발성 유기화
합물과 같은 유해가스의 농도가 높을 때는 환기가 불가피함. 비말 감염을
막기 위해서도 환기가 필수적임. (2006년 이후 준공된) 주택에 의무 설치되
어 있는 환기설비와 연동되어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근래에는 환기설
비에 정화기능을 탑재한 형태로 많이 설치되고 있음


❍ 다중필터 등 다양한 정화기술을 통하여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의
제거와 탈취 기능 등으로 발전

 

 

----------------------------------------------------------------------------------------------

 

스크린샷 2024-04-05 093759.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다양한 메타버스 시장 분류 체계 13도토리 강정훈
84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인공지능 산업 분야 지원 정책 동향 13도토리 강정훈
83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디지털 컨텐츠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8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AI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8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인공지능 산업 분야 비즈니스 창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8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IP5 통계보고서 주요내용 및 시사점 7도토리 강정훈
8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신 태국 완구시장 산업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3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신 글로벌 컨텐츠 산업 주목할만한 이슈들 7도토리 강정훈
839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최신 국내외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산업 분야 동향 5도토리 강정훈
83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글로벌 태양광 공급망 장악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및 전략 13도토리 강정훈
839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기업 분석으로 알아보는 제약, 바이오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 국가들의 인공지능 산업 분야 규제 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장민환
8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트리밍 시대의 최신 미국 미디어 컨텐츠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성숙기에 접어든 OTT 시장의 경쟁 지형 13도토리 장민환
83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설명 가능한 인공 지능(XAI)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대규모 투자하는 일본정부 3도토리 장민환
83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래자동차 시장과 전기, 자율주행 신뢰성 7도토리 장민환
8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수소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장민환
8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모니터링 드론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83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나노탄산칼슘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