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주택인 듯 주택 아닌 주택 같은 오피스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3
용량 828.7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주택인 듯 주택 아닌 주택 같은 오피스텔.pdf 828.7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 오피스텔 탄생과 변천사 • 오피스텔은 사무실과 호텔의 합성어로 업무와 주거 기능을 겸하는 건축물을 의미 • 1980년대 제도화가 되었으며, 주거 용도로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2010년 준주택으로 분류 • 오피스텔 투자 과열 양상이 나타나면서 2004년 오피스텔 건축 규제가 일시적으로 강화되었으나, 2010년 준주택으로 분류된 이후 주거 공간으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대폭 완화  오피스텔 시장 동향과 특징 • 오피스텔 건축 규제 완화와 주택시장 경기 회복으로 2010년 이후 오피스텔 공급 물량이 크게 증가 • 특히 오피스텔을 주거 용도로 사용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 아파트와 동일한 내부 구조로 인해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주택 대체재로 인식되고 있으며, 오피스텔 가격은 주택 가격에 후행하여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 •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에 적용되는 청약제도, 실거주 기간 등의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수요자에게 선 호도가 높으며, 공급자에도 분양가 상한제 미적용 등으로 장점이 존재 • 다만 발코니 설치가 제한되는 단점이 존재하며, 용도(주거용, 상업용)와 취득 시기(2020년 8월 12일 기준)에 따라 주택에 포함되어 세금 부담이 증가  오피스텔 트렌드 변화와 정보 활용 중요성의 증가 • 서울 강남권과 주요 도심을 중심으로 고급화 전략을 앞세운 하이엔드 주거용 오피스텔이 등장하면서, 일반 주택을 넘어 고급 호텔 수준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별화된 주거 공간으로 변신 • 오피스텔 건축 규제 완화 등이 예고되면서 주거용 오피스텔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오피스텔 시장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리라 예상 [하이엔드 주거용 오피스텔의 주거 서비스] 자료: ‘버밀리언 남산’ 홈페이지 < 요 약 > 2  오피스텔 탄생과 변천사 ○ 오피스텔(officetel)은 사무실(office)과 호텔(hotel)의 합성어로 업무와 주거의 기능을 겸하는 건축물을 의미  건축법상 오피스텔은 일반업무시설로 분류하고 있으며 ‘업무를 주로 하며, 분양하거나 임대하는 구획 중 일부에서 숙식을 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이라 규정 ○ 1980년대 제도화가 되었으며, 주거 용도로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2010년 준주택1으로 분류  오피스텔이라는 용어는 1984년 준공된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의 ‘성지빌딩’에서 처음 사용하면서 공용화된 것으로 추정  1986년 건축법에 ‘주거 겸용 오피스텔 건축 허용’이라는 조항이 신설되면서 제도화가 되었으며, 직주 근접 선호 현상과 도심 공동화2 방지 등을 위해 도입  주로 업무 시설로 사용되어 왔으나 1~2인 가구 증가,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소형 주택 수요 증 가로 주거 용도로 활용되면서 준주택으로 분류되었으며, 소위 ‘아파텔(아파트와 오피스텔의 합성 어)’로서 주거 기능을 강조 [그림 1] 1990년대 오피스텔 광고 자료: 1 주택 외 건축물과 그 부속 토지로서 주거시설로 이용 가능한 시설을 의미하며, 오피스텔과 함께 기숙사, 다중생활시설, 노인복지 주택이 이에 해당 2 도심 지역 내 지가 급등과 각종 공해로 인해 주택이 도시 외곽으로 진출하면서 도심 중심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 주변 지 역의 인구가 증가하는 인구 이동 현상으로, 도넛화 현상이라고도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80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9 성장동력산업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8 성장동력산업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77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무역 장벽의 실태와 시사점 :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조정희
1276 성장동력산업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75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국가 발전 모델의 제안 3도토리 조정희
1274 성장동력산업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73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심화 중 소프트패치 가능성 염려 3도토리 조정희
1272 성장동력산업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71 성장동력산업 EU의 사회적 분류체계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70 성장동력산업 빅테크와 은행의 협업 확대 필요성 1도토리 국준아
1269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인식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1268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1+N’ 탄소중립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67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해리스 행정부,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승인 1도토리 조정희
1266 성장동력산업 원자재 가격 전망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65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64 성장동력산업 무역구조의 변화가 국내 고용구조에 미친 영향과 정책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263 성장동력산업 최근 경제 현황과 경기 판단(2021년 4분기) 3도토리 국준아
1262 성장동력산업 구직기간별 실업자 분포를 이용한 자연실업률 추정 1도토리 조정희
1261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유통과 데이터 품질 기술 현황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