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성과를 만드는 팀의 비밀 심리적 안전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4
용량 732.1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성과를 만드는 팀의 비밀 심리적 안전감.pdf 732.1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Executive Summary ] 심리적 안전감의 이해  ‘심리적 안전감’이란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솔직한 의견을 제시하거나 부족한 점을 드러내도, 무시나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의미  구글은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Project Aristotle)’를 통해 심리적 안전감이 ‘고성과 팀’을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결과 발표  눈빛ㆍ목소리ㆍ표정 등 수시로 주고받는 ‘비언어적 신호’들이 성과평가와 같은 인사제도 보다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즉각적인 영향 심리적 안전감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 낮은 심리적 안전감으로 인해 ‘두려움과 불안으로 가득한 조직’에서는 문제를 제기해야 하는 순간, 구성원은 본능적으로 침묵이라는 행동을 선택 · 문제를 제기해야 하는 순간, 침묵을 선택할 경우 지금 당장 처리하면 간단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도 큰 문제가 될 수 있음  심리적 안전감이 높은 조직에서는 ‘구성원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솔직한 피드백’이 이루어지며, ‘실패를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문화’가 형성 · 픽사의 CEO는 픽사 성공의 핵심은 ‘솔직함’이며, 이는 심리적 안전감을 바탕 으로 ‘자신의 생각을 숨김없이 터놓고 이야기 하는 문화’로 설명 · 심리적 안전감이 충만한 조직에서는 실패를 두려움이나 피해야 할 대상이 아닌 ‘배우고 학습하는 과정’으로 인식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오해  타인의 의견에 동의하고 서로 친절하게 대하면 심리적 안전감이 생긴다?  외향적 성향을 가진 구성원이 많은 조직에서 심리적 안전감이 높다? 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기 위해 모든 실패에 관대해야 한다?  심리적 안전감이 요구되는 성과 기준을 낮추지 않을까? 시사점과 제언  심리적 안전감이 조직의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 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경영진, 팀리더, 그리고 구성원들이 ‘심리적 안전감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해야 함  ‘실패를 바라보는 프레임(frame)’ 전환을 이루기 위한 문화·제도적 노력 필요  조직문화의 시작과 끝은 리더십, 리더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 필요 2  심리적 안전감의 이해 #회의 시간에 의견을 내는 것이 무서워요. 내가 틀렸다고 질타를 받거나 무지해 보인다고 무시 받는 것보다 가만히 있는게 더 안전한 것 같아요. #가능하다면 상사의 의견에 반대 의견은 내지 않아요. 미운 털 박혀 인사고과를 망치고 싶지 않거든요.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갑자기 들어왔어요. 제가 보기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보였는데, 모두가 열의에 차 있는 상황이라 괜히 분위기 망치는 사람이 되기 싫어 못본 척 넘어 갔어요. ○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1이란 ‘인간관계의 위험으로부터 근무 환경이 안전하다고 믿는 마음’, 즉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솔직한 의견을 제시하거나 부족한 점을 드러내도 무시나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의미  조직문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메사추세츠 공과대 에드거 샤인Edgar Schein 교수와 워런 베니스Warren Bennis 교수가 1965년 출판한 ‘집단 방식을 통한 개인적ㆍ조직적 변화’에서 심리적 안전감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 에드거 샤인 교수는 심리적 안전감이 조직의 변화에 따른 구성원의 불안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며, 구성원 개개인의 방어적 태도나 불안한 학습 심리 극복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언급 이후 관련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대표적으로 1990년 보스턴대 윌리엄 칸William Kahn 교수는 심리적 안전감이 “개인의 조직 몰입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발표  심리적 안전감은 각각의 개별 조직이 가진 고유자산으로, 같은 회사 소속이라고 해도 팀의 분 위기에 따라 심리적 안전감을 느끼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 1996년 하버드대 에이미 에드먼슨Amy C. Edmondson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안전감은 조직 전체가 아닌 ‘특정 집단의 현상’이며, 구성원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아닌 각 팀의 리더 또는 구성원 전체의 노력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음 눈빛ㆍ목소리ㆍ표정 등 수시로 주고받는 ‘비언어적 신호’들이 성과평가와 같은 인사제도 보다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즉각적인 영향 에이미 에드먼슨 교수의 연구는 구글(Google)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Project Aristotle)’의 시발점이 됨 1 ‘심리적 안정감’으로도 번역할 수 있으나 개인이 안전하게 느끼는 정서와 상태를 만드는 것은 조직이 어떻게 환경을 조 성하느냐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최근 조직문화를 다루는 책이나 아티클에서는 ‘심리적 안전감’으로 번역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60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라벨링으로 만드는 변화 3도토리 조정희
1259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6월-1) 1도토리 조정희
1258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행정부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기조와 우리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정희
1257 성장동력산업 통화 안정 증권시장의 구조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256 성장동력산업 경기 회복 강화 속 소프트패치 가능성 우려 - 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2021년 2분기) 1도토리 조정희
1255 성장동력산업 정부재정 변동에 의한 세대별 순조세부담 7도토리 조정희
1254 성장동력산업 독일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주요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53 성장동력산업 미래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을 보장하기 위한 도시환경 및 에너지 지속 가능성에 대한 평가 방법 1도토리 조정희
1252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주권 회복을 위한 유럽 공동 개발 계획 1도토리 조정희
1251 성장동력산업 MZ세대를 공략한 후불결제(BNPL) 서비스의 부상 1도토리 조정희
1250 성장동력산업 사회적 딜레마와 ESG 탄소저감 게임 1도토리 국준아
1249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기업승계 촉진을 위한 공익법인 및 종류주식 활용방안 1도토리 조정희
1248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247 성장동력산업 지금은 메타버스에 올라탈 시간 1도토리 조정희
1246 성장동력산업 NFT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자산(지식재산)의 가치창출 1도토리 국준아
1245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 및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44 성장동력산업 2022년 미국 경제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43 성장동력산업 중소벤처기업, 힘(HIM)으로 지속가능성장 이루자 1도토리 조정희
1242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투자시장의 ESG도입 현황과 향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241 성장동력산업 로열티 프로그램을 활용한 고객유치 전략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