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자원재활용분야] 고품질 바이오연료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36
용량 1.95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자원재활용분야] 고품질 바이오연료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pdf 1.9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8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친환경 연료의 전환은 필수로 바이오연료의 중요도
상승과 함께 고품질화를 위한 기술개발 필요성 대두


❍ 고품질 바이오연료 생산에는 촉매공정이 필요하며, 촉매공정의 안정화를
위한 원료(지질형 바이오매스)의 품질 균질화가 중요

 

❍ 바이오매스는 재생가능 원료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으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해서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공정은 주로 목재나 폐기물 등 비
균질한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의 전처리공정이 반드시 필요


❍ 다종(폐식용유, 식물성오일, 동물성오일)의 지질형 바이오매스에 대한 품질
검증 및 연료화에 필요한 전처리 공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


❍ 이에 따라 고품질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해 지질형 바이오매스 품질 균질화를
위한 전처리 기술 및 자원순환을 위한 부산물 활용 기술개발로 탄소중립
및 경제성 향상에 기여

 

(2) 기술개발 필요성


☐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20.12)에 ‘탄소중립 R&D 전략’수립 및 탄소
중립을 위한 핵심기술로 저탄소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개발 집중 지원을 명시


☐ 친환경 바이오연료 확대 방안(`22.10) 친환경바이오연료 보급확대 계획
및 상용화 계획수립


❍ 국내 신재생의무혼합비율(RFS)규제의 확대: 5%(2030년) → 8%(2030년~)
- 친환경 바이오연료의 국내 보급 확대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연료혼합의무'의
대상으로 일반 경유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이오디젤의 경우, 차세대
바이오디젤을 도입 의무혼합비율을 '30년까지 5.0%에서 8.0%까지 상향


❍ 연료별 상용화 로드맵: 바이오디젤(2026년), 바이오중유(2025년), 바이오선박유
(2025년), 바이오항공유(2026년)

 

 

 

------------------------------------------------------------------------------------------------------

 

스크린샷 2024-04-02 14132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자원재활용분야] 고품질 바이오연료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70 성장동력산업 [자원재활용분야] 희소금속 회수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한상윤
7769 성장동력산업 [자원재활용분야] 수송·산업기계 재제조 부품 시장분석 11도토리 한상윤
7768 성장동력산업 [자원재활용분야]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한상윤
7767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고효율 e-메탄올 생산·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6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전기 유도 용해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5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반도체 공정용 CF4 처리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4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PVC 폐플라스틱 활용 오일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3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배출가스 재활용 소성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2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전력향상 전기도금용 전극 모듈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1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탄소중립형 화학동도금 폐수 처리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60 성장동력산업 [친환경공정전환분야] 온실가스 저감형 마찰교반 용접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한상윤
7759 성장동력산업 [친환경자동차분야]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758 성장동력산업 [친환경자동차분야]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시장분석 13도토리 최민기
7757 성장동력산업 [친환경자동차분야] 배터리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756 성장동력산업 [친환경자동차분야] 전력변환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755 성장동력산업 [친환경자동차분야] 열관리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754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753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소듐이온 배터리 시장분석 9도토리 최민기
7752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이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