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 전자약 기술개발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0
용량 8.91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 전자약 기술개발 동향.pdf 8.9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71 

[ 목 차 ]

 

1. 편집자 주

 

2. 마이크로바이옴과 합성생물학의 만남,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

 

3. 비약물적 치료기술, 전자약의 기술개발 동향

 


 

Ⅰ 마이크로바이옴 최근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미생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며 ‘마이크로 바이옴(Microbiome)’이라는 새로운 차원의 생명공학을 촉진시켰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간의 몸속에 함께 살고 있는 미생물의 유전정보 전체를 뜻하는 말로 인간의 ‘제2의 게놈(Second Genome)’이라고도 불린다. 마이크로바이옴은 기존 개별 미생물 연구에서 벗어나 인체와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유전체학, 대사체학, 시스템생물학, 합성생물학 등에 기반하여 연구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큰 주제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인간의 건강 증진을 위해 마이크로바이옴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인체 내 미생물은 대사조절 및 소화능력에 영향을 끼친다는 기존의 지식을 넘어 인간이 겪고 있는 각종 질병인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비만, 장염, 심장병, 우울증, 자폐증, 치매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규명되고 있다. 따라서 100세 건강사회의 구현을 위한 중요한 연구 분야로 마이크로바이옴은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갖고 있다. 특히 기존에 원인을 알 수 없었지만 경험과 임상을 통해 인간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미생물(대표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을 발굴하고 제품으로 개발하는 전통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합성생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특정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은 세계적인 관심과 대규모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 헬스케어 산업의 혁신을 가져올 것이며, 미생물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융합연구리뷰에서는 인간의 건강 증진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활용을 합성생물학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인간과 미생물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현재 약 10 23개의 인간 세포가 있으며, 단일(10 1 = 1) 종의 인간이 있다. 그러나 우리와 함께 지구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세포 수는 약 10 30개이고, 그 미생물은 약 10 12 종이나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과연 지구의 주인은 누구일까? 숫자로만 보면 지구의 주인은 미생물이며, 우리는 미생물과 함께 2021 August vol.7 no.8 5 살고 있는 손님 정도 될 것 같다. 심지어 우리 몸 안 구석구석에도 이미 많은 미생물이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 몸 안의 미생물을 쉽게 잊고 살아간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미생물들을 쉽게 잊어서는 안된다. 이 미생물들이 바로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인체 내 미생물의 분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40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39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3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7 성장동력산업 금융소비자보호와 빅테크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236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안화 강세 속도 조절로 환율 하단 제한 1도토리 조정희
1235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부와 서울시 간 정책 혼선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234 성장동력산업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 투자 확대 추세에 대한 소고 1도토리 국준아
123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1232 성장동력산업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생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31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안 발표와 각국의 규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자영업 특성별 고용현황 및 평가 1도토리 조정희
1229 성장동력산업 美 자동차 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얼굴 비식별화 및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7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27호(21년 06월 09일) 1도토리 조정희
1226 성장동력산업 스모그 챔버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25 성장동력산업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24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 조세지출 관리체계 현황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23 성장동력산업 경량 휴먼 분할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2 성장동력산업 국내 지표 금리 개선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21 성장동력산업 세상에서 가장 큰 도서관 콘텐츠 및 SW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