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 유통물류센터의 스마트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5
용량 6.03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 유통물류센터의 스마트 기술.pdf 6.0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융합연구정책센터 
페이지 수 : 55 

[ 목 차 ]

 

1. 편집자 주

 

2. 유통물류센터의 스마트 기술 관련

 

3.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

 


 

Ⅰ 유통물류센터 서론 1. 이커머스(E-Commerce) 시장의 성장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의 전체 리테일 세일즈(Retail Sales, 소매유통 판매)는 2.8% 정도 감소되었으나, 이커머스 리테일(E-Commerce, 전자상거래 소매유통) 시장의 성장으로 글로벌 리테일 이커머스 세일즈의 시장 규모는 올해 약 4.92조 달러($4.921 조)에 이르고, 2025년에는 약 7.3조 달러($7.385 조)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1) 전체 시장 중 중국이 전체 시장의 60.8%를, 북미가 20.3% 그리고 서유럽이 12.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세계 리테일 이커머스 시장 전망(2019~2025) 단위 : 조 달러(Trillion $) 출처 : Insider Intelligence(2021) 1) Von Abrams. K. (2021.07.07.) Global Ecommerce Forecast 2021. Insider Intelligence. https://www.emarketer.com/content/global-ecommerce-forecast-2021 2021 September vol.7 no.9 5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분야로는 큐레이션(Curation) 기술, 이커머스 플랫폼, 라스트 마일(Last Mile) 배송 및 물류센터/풀필먼트 (Fulfillment) 센터 등이 있다. 큐레이션은 원래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전시 작품을 기획하고 관람객들에게 설명해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유통분야에서는 IT를 활용해 개개인에게 적합한 맞춤형 정보와 서비스를 선별해 제공하는 기능을 뜻한다. 이 기술은 Amazon사가 초기에 서적을 판매할 때 처음 활용하였는데, 최근에는 많은 기업들이 엄청난 양의 고객데이터와 상품데이터, 구매 행태와 오프라인 방문 기록 등의 방대한 정보를 빅데이터 기술, AI 기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은 고객이 특정 제품을 찾을 수 있는 검색기능, 주문을 관리할 수 있는 장바구니 기능, 결제 기능을 기본으로 대부분 호스팅(Hosting)과 클라우드 (Cloud)를 통해 운영이 되고 있으며, 해당 기능의 차별화가 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커머스의 성공 핵심은 물류 기능으로 상품의 입고부터 재고관리・분류・배송은 물론 반품 등 사후처리까지 모든 업무를 일괄 처리하는 서비스인 풀필먼트의 효율화로 볼 수 있는데 풀필먼트 센터는 이커머스의 마지막 실행단계로 실제로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국내에서도 이커머스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많은 투자가 진행되는 부분이지만, 효율화 부분에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들과는 상당한 기술적 차이가 있는 분야로 판단된다. 융합연구리뷰에서는 유통물류센터에서의 스마트 기술에 대한 동향과 전망을 기술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40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39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3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7 성장동력산업 금융소비자보호와 빅테크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236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안화 강세 속도 조절로 환율 하단 제한 1도토리 조정희
1235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부와 서울시 간 정책 혼선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234 성장동력산업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 투자 확대 추세에 대한 소고 1도토리 국준아
123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1232 성장동력산업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생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31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안 발표와 각국의 규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자영업 특성별 고용현황 및 평가 1도토리 조정희
1229 성장동력산업 美 자동차 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얼굴 비식별화 및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7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27호(21년 06월 09일) 1도토리 조정희
1226 성장동력산업 스모그 챔버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25 성장동력산업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24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 조세지출 관리체계 현황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23 성장동력산업 경량 휴먼 분할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2 성장동력산업 국내 지표 금리 개선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21 성장동력산업 세상에서 가장 큰 도서관 콘텐츠 및 SW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