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FTA 신통상규범에 대한 통상법적 쟁점 및 경제적 영향: 환경 및 노동을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93
용량 1.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FTA 신통상규범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과 경제적 영향 환경과 노동을 중심으로.pdf 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14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30 

[ 목 차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및 분석 결과

 

3. 정책 제언

 


 

▶ 환경보호 및 노동자 보호와 관련하여 FTA의 물적 적용범위와 의무의 수준이 확대ㆍ심 화되는 추세 ▶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FTA 환경ㆍ노동 의무의 집행 가능성 강화 노력 또한 지속될 전망 - 미국은 TPP 협상, USMCA 등에서 일관되게 제재 중심의 접근법을 취해 옴. - 반면 EU는 대화ㆍ협력 중심의 접근법을 취해 왔는데, 최근에는 기존의 유보적인 태 도를 벗어나 환경ㆍ노동 의무 확보를 위해 TSD 챕터상의 협의ㆍ분쟁해결 메커니즘 을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2021년 2월 말 우리나라의 ILO 핵심협약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로 인해 한ㆍEU 전 문가패널 보고서의 이행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은 낮기는 하나, EU 측이 △환경ㆍ노동 의무 위반을 이유로 한 FTA 정지ㆍ종료 △무역장벽규정(TBR)에 근거한 무역조치 △ EU GSP 무역특혜 철회 △통상감찰관제도(CTEO) 및 무역집행규정 개정을 통한 무 역조치 등을 추진할 가능성을 두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 바이든 행정부하에서 미국의 대외 기후ㆍ통상정책에 분명한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 - 국제 기후ㆍ환경 의무 불이행국에 대한 ‘탄소조정세(carbon adjustment fee)’ 부과 를 대선과정에서 언급한 바 있으며, 보다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무역구제(특히 상계조 치)를 기후문제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를 요함. - 대미(對美) 수출품목 중 우리 배출권거래제하에서 무상할당을 집중 공여받고 있는 산업 부문에 대한 제도적 개선 여지 검토 및 미국 내 관련 논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다자환경협정(MEAs)의 국내적 이행 촉진에 FTA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가능성 - FTA 당사국간 환경사안 관련 통보의무를 강화하고, 환경법의 국내적 이행 상황을 당사국 상호 간에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준수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는 안을 검 토해 볼 필요 2019 KIEP 2020 KIEP 정책연구 브리핑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FTA 신통상규범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과 경제적 영향: 환경과 노동을 중심으로 FTA 신통상규범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과 경제적 영향: 환경과 노동을 중심으로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FTA의 양적 팽창과 함께 물적 적용범위와 의무의 수준 또한 확대ㆍ심화되는 추세 - 특히 환경보호와 노동자 보호 등 무역에 직접 관련이 없어 보이는 비(非)무역적 사안을 규율하는 FTA 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 단순한 선언이나 기존 국제협정의 이행을 재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체적 의무를 구체적으로 FTA 내에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발전 - FTA 분쟁해결 및 집행 메커니즘을 통해 타방 당사국의 환경ㆍ노동 의무 준수를 강제하려는 현상이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 미국은 우리나라 선박의 불법ㆍ비보고ㆍ비규제 어업(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이하 ‘IUU 어업’) 위반행위로 인해 미 국가해양수산청이 우리나라를 예비 IUU 어업국으로 지정한 건을 계기로 2019년 9월 19일에 한ㆍ미 FTA 제20장 환경 챕터에 근거, 한국에 환경협의를 요청 ◦ 2018년 12월 17일에 EU 집행위원회는 우리나라가 한ㆍEU FTA 제13장 TSD 챕터상 의무에도 불구, ILO 핵심협약을 비준하는 데 충분히 노력하지 않았다며 정부간 협의를 요청 그림 1. FTA 체결건수 및 환경규범의 포함 빈도 (단위: 건) 그림 2. FTA 체결건수 및 노동규범의 포함 빈도 (단위: 건, %) 자료: Brandi et al.(2020), “Do Environmental Provisions in Trade Agreements Make Exports from Developing Countries Greener?” p. 3. 자료: Raess and Sari(2018), “Labor Provisions in Trade Agreements (LABPTA): Introducing a New Dataset,” p. 445. FTA 환경ㆍ노동 규범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 - CPTPP, USMCA 등 최신의 FTA 환경ㆍ노동 규범과 우리나라 기체결 FTA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 라 FTA 환경ㆍ노동 규범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 이를 바탕으로 △향후 FTA 신규 또는 개정 협상에서 타방 당사국이 높은 수준의 환경ㆍ노동 규범을 주장할 경우 FTA에의 반영 수준 및 방식 △우리나라를 상대로 한 환경ㆍ노동 분쟁에 효과적으로 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40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39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3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7 성장동력산업 금융소비자보호와 빅테크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236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안화 강세 속도 조절로 환율 하단 제한 1도토리 조정희
1235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부와 서울시 간 정책 혼선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234 성장동력산업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 투자 확대 추세에 대한 소고 1도토리 국준아
123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1232 성장동력산업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생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31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안 발표와 각국의 규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자영업 특성별 고용현황 및 평가 1도토리 조정희
1229 성장동력산업 美 자동차 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얼굴 비식별화 및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7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27호(21년 06월 09일) 1도토리 조정희
1226 성장동력산업 스모그 챔버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25 성장동력산업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24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 조세지출 관리체계 현황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23 성장동력산업 경량 휴먼 분할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2 성장동력산업 국내 지표 금리 개선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21 성장동력산업 세상에서 가장 큰 도서관 콘텐츠 및 SW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