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對인도 정책 전망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90
용량 1.4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對인도 정책 전망과 시사점.pdf 1.4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16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바이든 행정부는 인도를 대중국 견제를 위한 주요 파트너국으로 인식함.
-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계승하여, 핵심 협력 대상국인 인도와의 정책공조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측됨.
- 미·인 관계는 쿼드하에서 미국 우방국과 인도의 연계성을 높이고자 다자주의적으로 접근하는 한편, 양자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
。바이든 행정부는 취임 후 쿼드 외무장관 및 정상 회담을 신속히 개최하였고, 미·인 양국 행정부 장관의 상호 방문 교류를 통하여 협력 방향을 논의함.

▶ 바이든 행정부의 대인도 정책은 다자주의와 친환경 정책기조를 바탕으로 양국의 군사·안보 연계성 강화,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변화 및 신재생에너지 협력 강화, 코로나19 백신 및 의료용품 지원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
- [군사·안보]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과 인도는 군사 합동훈련 및 정보 교환 등 군사협력 확대를 합의하였고, 쿼드를 통한 다자 합동훈련, 핵심 신기술 및 기술표준 개발 공조 합의 등 군사·안보 관련 협력을 증대하고 있음.
- [기후·에너지] 미국과 인도는 기후변화 대응 및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기술·재정 협력을 담은 쿼드 ‘기후 실무그룹’ 구성에 합의하였으며, 이후 미국의 존 케리 기후특사가 인도를 방문하여 모디 총리와 청정에너지 관련 미국의 재정 지원에 대한 협의를 진행함.
- [코로나19] 미국과 인도는 코로나19 공동 대응 및 백신 제조역량 확대를 위한 쿼드 ‘백신 실무그룹’ 형성에 대해 합의하였고, 인도 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백신 원재료 수출의 긴급 승인과 코로나19 치료제, 긴급 진단 키트(RDT), 산소호흡기, 개인 보호장비(PPE) 등을 공급함.

▶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인·태 전략 주요 파트너국인 인도와 안보, 재생에너지, 백신을 중심으로 협력의 폭을 넓힐 것으로 예상되는바, 우리 기업과 정부는 미·인 양국의 협력 방향을 고려한 선제적 대응 및 정책공조가 필요함.
- 미·인 양국 협력은 쿼드 및 우방국과의 협력하에 안보, 재생에너지, 백신 분야 협력이 우선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한국은 에너지, 5G, 인프라, 백신 분야의 공동사업을 적극 발굴하여 미·인 양국에 선제적으로 제안할 필요가 있음.
- 한편 미국의 대인도 무역적자 문제, 인도의 디지털서비스세 부과, 바이든 행정부의 민주주의 및 인권에 관한 강경한 기조는 양국간 높은 수준의 협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40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39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3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7 성장동력산업 금융소비자보호와 빅테크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236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안화 강세 속도 조절로 환율 하단 제한 1도토리 조정희
1235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부와 서울시 간 정책 혼선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234 성장동력산업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 투자 확대 추세에 대한 소고 1도토리 국준아
123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1232 성장동력산업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생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31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안 발표와 각국의 규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자영업 특성별 고용현황 및 평가 1도토리 조정희
1229 성장동력산업 美 자동차 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얼굴 비식별화 및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7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27호(21년 06월 09일) 1도토리 조정희
1226 성장동력산업 스모그 챔버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25 성장동력산업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24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 조세지출 관리체계 현황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23 성장동력산업 경량 휴먼 분할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2 성장동력산업 국내 지표 금리 개선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21 성장동력산업 세상에서 가장 큰 도서관 콘텐츠 및 SW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