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중국 및 대아세안 투자동향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6
용량 656.6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대중국 및 대아세안 투자동향 분석.pdf 656.6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Ⅰ. 개요 □ [세계 해외투자] 팬데믹으로 ‘20년 세계 해외직접투자(이하 “FDI”)는 전년 대비 35% 감소한 1조불로 급감했으나, 對중국 투자는 증가 ◦ ‘20년 對중국 FDI는 오히려 전년대비 6% 증가하였으며, 세계 1위 투자대상국인 미국과 유사한 수준의 투자 유입 기록 중국·미국 FDI 유입 추이 (억불) 구 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세 계 20,323 20,652 16,473 14,367 15,302 9,989 중 국 1,356 1,337 1,363 1,383 1,412 1,493 미 국 4,676 4,594 2,953 2,234 2,614 1,563 □ [우리나라 해외투자] 세계적인 對중국 투자 증가에도 불구, 우리나라의 ’20년 對중국 투자는 감소한 반면, 최근 수년간 對ASEAN 투자는 증가세 ◦ 對중국 FDI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다, ‘20년 제조업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22.4% 감소하였으며, 전체 FDI 대비 비중도 하락(9.0%→8.0%) ◦ 對ASEAN FDI는 뚜렷한 증가세로 ’20년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전년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전체 FDI 대비 비중은 상승(15.4%→17.3%) 우리나라의 對중국·對ASEAN FDI 추이 (억불) 구 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전 체 304 403 449 514 644 566 중 국 30 34 32 48 58 45 ASEAN 44 53 53 66 99 98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對중국 수출의존도*는 25% 내외를 시현, 對ASEAN 수출의존도**는 지속적인 상승세 기록 * 對중국 수출의존도 추이: (’05년) 21.8%→(’10년) 25.1%→(’15년) 26.0%→(’20년) 25.9% ** 對ASEAN 수출의존도 추이: (’05년) 9.6%→(’10년) 11.4%→(’15년) 14.2%→(’20년) 17.4% ☞ 세계의 對중국 투자 증가요인, 우리나라의 對중국 투자 감소요인·對ASEAN 투자 증가요인에 대한 분석 필요 - 2 - Ⅱ. 세계의 對중국 투자 증가요인 ✤ 중국 정부의 내수 진작, 신속한 팬데믹 통제, 투자환경 개선 등에 힘입어 세계의 對중국 투자 유입 증가 지속 ❶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성장 □ [쌍순환 전략 도입] 중국 정부는 ‘20년 5월 ’쌍순환 전략‘을 제시, ’국내 순환‘과 및 ’국제 순환‘의 상호 연계 추구 ◦ 이는 외부 불확실성에 대응, 견실한 내부경제 구축을 목표로 중국 경제의 성장동력을 수출에서 내수로 이전하는 전략 - 내수 진작*으로 ’20년 중국은 미국을 상회하는 소매판매 규모**를 시현하는 등 최대 소비시장으로 등극하여 투자 유인이 증가 *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톈진, 충칭의 5개 도시를 소비 중심도시로 육성 등 ** 중국 5.68조불, 미국 5.59조불 □ [고급 소비재 판매 증가] 중국內 전기차, 고가 화장품 등의 고급 소비재 판매가 증가하여 다국적기업은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경쟁적으로 투자 확대* * ’19년 12월 독일 폭스바겐社는 중국 전기차 기업에 21억유로 투자 ’20년 9월 프랑스 클라란스社는 중국 상하이에 최초의 해외 연구소 설립 ◦ 특히, 중국 정부는 내국인면세점 육성으로 고급 소비재 수요를 내수시장에서 소화되도록 유도 ❷ 팬데믹 확산세 통제에 따른 경제 성장 □ [코로나-19 방역 성공] 중국은 초기 고강도 방역 및 델타 변이 바이러스 조기 통제 등에 따라 빠른 경기 회복세 시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40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39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3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7 성장동력산업 금융소비자보호와 빅테크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236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안화 강세 속도 조절로 환율 하단 제한 1도토리 조정희
1235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부와 서울시 간 정책 혼선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234 성장동력산업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 투자 확대 추세에 대한 소고 1도토리 국준아
123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1232 성장동력산업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생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31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안 발표와 각국의 규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자영업 특성별 고용현황 및 평가 1도토리 조정희
1229 성장동력산업 美 자동차 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얼굴 비식별화 및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7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27호(21년 06월 09일) 1도토리 조정희
1226 성장동력산업 스모그 챔버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25 성장동력산업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24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 조세지출 관리체계 현황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23 성장동력산업 경량 휴먼 분할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2 성장동력산업 국내 지표 금리 개선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21 성장동력산업 세상에서 가장 큰 도서관 콘텐츠 및 SW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