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ESG 정보 유용성 향상을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0
용량 746.37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ESG 정보 유용성 향상을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pdf 746.3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1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목 차 >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ESG 기업공시 현황 
Ⅲ. ESG 공시의무화의 적절성 검토
Ⅳ. ESG 기업공시 개선방안 
Ⅴ. 결론

 


 

기후변화 대응, 책임투자 확산으로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기준제정기구별 보고기준이 상이하여 기업의 정보생산 부담은 가중되는 반면 정보의 비교가능성ㆍ신뢰성은 낮아, ESG 기업공시를 ‘어떻게’ 개선할지를 중심으로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국내 기업부문의 ESG 공시현황을 조사한 결과, ESG 대응수준이 낮고 스스로 유발한 사회적 비용을 내부화할 역량이 부족한 기업일수록 ESG 공시수준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배출 측면에서 기업이 유발하는 사회적 비용이 영업이익의 100%를 초과하는 환경한계기업의 경우 매출액 대비 오염물질 배출량이 높고 영업마진이 낮아 기후변화 및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중대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럼에도 관련 규제 위험을 공시한 기업은 10% 에 불과하다. 대체로 상장기업보다는 비상장기업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보다는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이, 대규모기업보다는 중견ㆍ중소규모기업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공시의무화는 기업의 이행부담을 강제한다는 점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ESG 규제수준이 강화되면 계속기업으로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기업들조차 관련 위험을 충실히 공시하지 않고 있다.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ESG 정보비대칭성 해소를 위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상장기업에 대해서는 재무적 위험성과 직결되는 중요 ESG 정보를 사업보고서 내 의무적으로 기재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공시정보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장기적으로는 이에 대한 인증절차 역시 도입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 ESG 관련 정보의 공시체계를 재정비하고, 공시채널을 일원화하여 ESG 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01 Issue Report 21-12 Ⅰ. 연구배경 및 목적 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ESG)(이하 ESG) 활동에 대한 정치ㆍ사회ㆍ경제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ESG 관련 정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 위험, 소득 불평등 심화 등 기업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외부효과 문제를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는 인식과 함께 금융기관의 책임투자가 확대되면서(Henderson, 2020; OECD, 2020) ESG 기업공시를 ‘왜’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정책당국 역시 ESG 정보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공시체계 개선을 추진 중에 있다. 우선적으로 ESG 공시를 ‘누구’에게 ‘언제’까지 강제할 것인지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경우 2030년까지 ESG 공시의무를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01 다만, ESG 공시의무를 ‘어떻게’ 강화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ESG 관련 비재무정보의 보고기준 제정을 담당하는 주요 국제기구들 간에도 보고서 작성기준이 상이하여 기업의 공시부담은 가중되는 한편02, 여러 평가기관의 평가체계 역시 일관되지 않아 공시 및 평가정보의 비교가능성과 신뢰성이 낮은 수준이다(이인형, 2021). 이에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전략, 조직 구조, 운영 및 성과목표 전반에 ESG 요소를 통합하는 ESG 경영 모범사례를 제시하고 조직ㆍ환경ㆍ사회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공개지표를 제안하여 기업의 실질적인 ESG 활동과 공시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초석을 마련하였다.03 그럼에도 불구하고 ESG 공시 강화의 시기ㆍ범위ㆍ방식 등을 두고 여전히 사회적인 논의가 뜨겁다.04 재무보고 기준으로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 IFRS)을 채택 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궁극적으로 IFRS 재단이 제정 추진 중인 지속가능경영보고 기준을 ESG 관련 비재무보고 기준으로 준용해야 할 것이다. 기존 재무보고 기준과의 연계성, 국제정합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40 성장동력산업 일본 최초의 디지털뱅크 ‘모두의 은행’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239 성장동력산업 금리: 연내 인상 반영 속 단기물 중심의 상승 1도토리 조정희
123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 과세 체계의 현황 및 합리적 발전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7 성장동력산업 금융소비자보호와 빅테크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236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안화 강세 속도 조절로 환율 하단 제한 1도토리 조정희
1235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부와 서울시 간 정책 혼선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234 성장동력산업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 투자 확대 추세에 대한 소고 1도토리 국준아
123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1232 성장동력산업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생 전략 1도토리 국준아
1231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안 발표와 각국의 규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1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자영업 특성별 고용현황 및 평가 1도토리 조정희
1229 성장동력산업 美 자동차 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 전략 1도토리 조정희
12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얼굴 비식별화 및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7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27호(21년 06월 09일) 1도토리 조정희
1226 성장동력산업 스모그 챔버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25 성장동력산업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24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 조세지출 관리체계 현황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23 성장동력산업 경량 휴먼 분할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22 성장동력산업 국내 지표 금리 개선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1221 성장동력산업 세상에서 가장 큰 도서관 콘텐츠 및 SW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