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2년 국내 및 국외 경제·산업 전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45 | |
---|---|---|---|---|---|---|
용량 | 566.63K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2022년 국내 및 국외 경제·산업 전망.pdf | 566.63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1-06 |
---|---|
출처 :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페이지 수 : | 36 |
[ 목 차 ]
Ⅰ. 국내외 경제전망
가. 세계경제전망
나. 국내경제전망
Ⅱ. 주요 산업별 수출전망
가. 주요 수주 산업
나. 주력 수출산업
다. K-뉴딜 산업
Ⅰ. 국내외 경제전망 가. 세계경제전망 □ ’22년 세계 경제는 백신접종 확대 및 주요국 확장적 재정정책 등으로 소비·고용 등이 회복되며 4.5~4.9% 성장 전망 Ÿ 2021년에는 백신보급, 경제활동 재개 등으로 5%대 후반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나, 델타변이 확산, 공급망 차질 등으로 불균등한 회복 지속 Ÿ 2022년에는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글 로벌 공급망 차질,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의 불확실성이 있으나, 선진국 의 확장적 재정정책, 고용 회복 등으로 기조적으로는 글로벌 경기회복 흐름이 이어질 전망 Ÿ (미국) 2021년 빠른 회복세를 보였던 미국은 2022년에는 미진했던 고용시장이 회복되며 성장세가 지속되나, 공급망 차질 영향으로 전년보다는 성장률 둔화 Ÿ (유럽) 제조업 중간재 조달 차질 등의 영향은 있겠으나, EU 회복기금으로 소비·투자가 개선되고 관광 등 서비스 산업 회복 등으로 양호한 성장세 전망 Ÿ (신흥국) 원자재 수출국은 성장세가 개선되겠으나 중국은 긴축재정 등으로 경기하방 압력이 높고, 백신접종률이 낮은 일부 신흥국은 회복세 부진 전망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구 분 2021년 (IMF) 2022년 IMF OECD 한국은행 전세계 5.9 4.9 4.5 4.3 선진국 5.2 4.5 4.7 - 미국 6.0 5.2 3.7 4.0 유로 5.0 4.3 4.3 4.3 일본 2.4 3.2 3.4 2.4 신흥국 6.4 5.1 - - 아시아 7.2 6.3 - - 중국 8.0 5.6 5.1 5.2 인도 9.5 8.5 8.1 - 한국 4.3 3.3 3.0 3.0 주: IMF(10월), OECD(12월, 선진국은 G20), 한국은행(11월) 2022 연간보고서 2022년 국내외 경제 및 산업 전망 ii 나. 국내경제전망 ☐ ’22년 국내경제는 백신접종 확대, 확장적 재정지출, 수출의 견조한 흐름 등으로 고용 및 민간소비가 회복돼 3%대 성장 전망 Ÿ 2021년에는 주요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의 큰 폭 증가, 반도체 등 IT경기 호황에 따른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빠른 경제 회복세를 보이며 4% 수준 성장 ‑ (민간소비) 2021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지속 등으로 대면서비스 소비가 둔화되며 민간소비 회복세는 다소 지연됐으나, 2022년에는 백신접종 확대, 정부 지원 정책 등으로 소비활동이 강화되면서 민간소비는 3%대 중후반 성장 전망 ‑ (설비투자) 2021년에는 글로벌 경기회복 및 IT부문의 투자 개선세로 높은 설비 투자율을 나타냈으며 2022년에는 신성장 및 친환경 부문 투자가 늘어나겠으나 21년 빠른 성장세 따른 기저효과로 2%대 성장 전망 Ÿ (수출) 주요국 소비회복은 이어지겠으나 글로벌 성장률 및 교역신장률의 전년 대비 하락 영향으로 2022년 수출은 3% 내외 증가 전망 ‑ (‘21년 동향) 경제활동 재개 및 기저효과, 견조한 IT 수요 등의 영향으로 반도체, 석 유화학, 자동차, 기계류 등 대부분의 품목에서 호조를 보이며 전년대비 25.8% 증가 한 6,445억 달러 기록 ‑ (’22년 전망) 백신접종 확대, 주요국 경기부양책 등으로 양호한 수출 흐름은 지속되겠 으나, 기저효과 감소로 수출 증가율은 다소 둔화돼 약 3% 증가한 6,600억 이상 전망, 글로벌 공급망 차질 장기화 및 중국 성장률 둔화 등이 가시화될 경우 성장폭은 축소 가능 *세계무역증가율(IMF) : 0.9%('19)→△8.2%('20)→9.7%('21e )→6.7%('22f)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