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해양 환경 규제를 통한 신규 조선 발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6
용량 705.6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해양 환경 규제를 통한 신규 조선 발주 전망.pdf 705.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30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페이지 수 : 25 

< 목 차 >

 

Ⅰ. 서론

 

Ⅱ. 해상환경규제 
 1. 해상환경규제의 배경과 목표
 2. 주요 해상환경규제와 효과

 

Ⅲ. 신조선 시장에 대한 해상환경규제의 영향 

 

Ⅳ. 해상환경규제에 따른 발주 전망
 1. 전망 시나리오 및 주요 가정
 2. 발주량 및 한국 수주량 전망

 

Ⅴ. 결론 및 시사점

 


 

(환경규제효과)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상환경규제 강화로 노후선의 조기 교체 압력이 높아지며 신조선 수요 증가 기대 Ÿ 10년 이상 지속된 선복량 과잉에 의한 장기 불황 우려가 노후선 조기교체로 다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어 그 영향에 의한 전망치를 제시하고자 함 (주요 환경규제) IMO는 최근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바 있고, 목표 달성을 위하여 환경규제 조치를 강화함으로써 저효율 노후선들은 다중의 압력을 받고 있음 Ÿ 2020년 시행된 황산화물 규제로 인하여 연료비용이 50% 내외 증가한 상황이며, 2022 년부터 유럽 항에 기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온실가스 배출권도 구매하여야 함 Ÿ 2023년부터 EEXI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는 저효율선에는 운항속도 감속 등의 제재가 가해질 것이며, CII의 등급이 낮을 경우 효율 개선에 높은 비용을 투자해야 하거나 퇴출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음 Ÿ 이러한 환경규제 영향으로 많은 노후선들이 계획 수명보다 조기에 폐선되며 신조선 교체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신조선 수요 추정) 본고에서는 신조선 발주량을 환경규제 효과에 의한 노후선 “교체수요”와 해운수요 성장에 의한 “신규수요”로 나누어 시나리오 하에 향후 10년간 발주량 추정 Ÿ 추정 대상은 탱커, 벌크선, 컨테이너선, 가스선(LNG, LPG), Ro-Ro선, PCC 등이며 세계 발주량에서 10% 내외를 차지하는 크루즈, 특수선, 기타 중소형화물선 등은 제외 Ÿ 각 선종별 세부 선형의 선령별 척수를 근거로 교체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최근 5년간 각 화물의 연평균 증가율 등을 근거로 신규수요 추정 시나리오를 작성 (교체수요 시나리오) Ÿ 현재 기준 선령 20년차 선박 전량과 15~19년차 선박 30%는 향후 5년간 매년 대상 선박의 20%씩 교체수요 발주 Ÿ 이후 5년간 현재 기준 15~19년차 선박 70%와 10~14년차 20%가 동일하게 발주됨 2021 이슈보고서 해상환경규제 효과에 의한 신조선 발주 전망 2 (신규수요 시나리오) Ÿ 각 선종의 화물별 최근 5년간 해운수요 연평균 증가율을 기준으로 2022년부터 일 정률로 둔화되어 2031년까지 기준 증가율의 0.6배까지 둔화됨 Ÿ 선주들의 발주량은 해당 연도의 해운수요에 대응하여 발주한다는 가정하에 신규 수요는 해당 연도의 증가율에 해당하는 선복량 증가분이 발주되는 것으로 가정 (한국 수주 시나리오) Ÿ 각 선종, 선형별 최근 5년간의 한국 점유율에 한국의 고효율 품질에 의한 점유율 상승 추정분 3.5%p를 더한 보정치를 근거로 발주량 추정치로부터 수주량 계산 (추정 결과) 노후선 조기 교체 수요로 향후 10년간 세계 조선산업 규모 유지에 필요한 일감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 Ÿ 향후 10년간 연평균 1,926만CGT의 교체수요와 1,790만CGT의 신규수요 등 연 3,700만 GCT의 신조선 발주가 예상되며, 제외된 크루즈 등을 합쳐 연간 약 4천만CGT 발주 전망 Ÿ 한국은 연간 1,050~1,240만CGT의 수주량과 28~33%의 수주점유율 전망 ‑ 다만, 고효율 품질 등 한국 선박의 가치가 높아지며 점유율 상승이 추정치보다 높아질 경우 연간 1,500만CGT까지도 수주가 가능할 전망 Ÿ 환경규제효과가 배제될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연평균 세계 발주량은 2,500~2,600만 CGT로 세계 조선산업 유지에 부족한 수준의 불황이 장기화 될 우려가 있음 Ÿ 노후선의 조기 교체수요로 세계 조선업 유지에 필요한 최소 수준으로 추정되는 3,500 만CGT 이상의 일감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Ÿ 강경한 조치들로 인하여 향후 5년 내 예상보다 많은 선박의 교체수요가 한꺼번에 몰릴 경우 호황기에 준하는 수요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현재의 경제 및 금융 동향, 선주들의 투자 여력 등을 감안하면 가능성은 낮을 전망 (본 전망의 의미) 본고에서 제시된 전망치는 환경규제 효과에 의한 연평균 신조선 수요의 기대치를 정량적으로 제시한 점에 의미가 있음 Ÿ 향후 신조선 수요는 각 선종 시장별 상황, 금융권 동향, 무탄소 선박의 출시 시기와 기술적 발전 동향, 주요국 정부 정책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20 성장동력산업 주택인 듯 주택 아닌 주택 같은 오피스텔 1도토리 국준아
1219 성장동력산업 국제원자재가격 상승배경 및 국내경제에 대한 파급영향 점검 1도토리 조정희
1218 성장동력산업 아트테크 활성화에 따른 예술품보험의 필요성 증대 1도토리 국준아
1217 성장동력산업 성과를 만드는 팀의 비밀 심리적 안전감 1도토리 국준아
121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6월-2) 1도토리 조정희
1215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산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214 성장동력산업 금융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라 1도토리 국준아
1213 성장동력산업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 1도토리 조정희
1212 성장동력산업 W-대역 MMIC 저잡음증폭기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11 성장동력산업 홀로그램렌더러-Realistic 고해상도 홀로그램 생성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10 성장동력산업 국내 소재부품산업 현황과 시사점 - 쏠림현상 해소와 핵심 경쟁력 유지가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09 성장동력산업 사회연대기금법안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08 성장동력산업 ‘폐기물 Biz.의 성장’ 제2라운드 돌입 1도토리 국준아
1207 성장동력산업 중국, 반(反) 외국제재법 통과 및 시행 1도토리 조정희
12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시대의 개인투자자: 투자양상과 투자성과 3도토리 조정희
1205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EU)의 디지털 플랫폼 규제 개편과 한국의 통상친화적 제도개선 방향 7도토리 국준아
1204 성장동력산업 스위스 저탄소 경제 발전을 위한 투자와 지원 정책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03 성장동력산업 네덜란드 차세대 태양광 발전 기술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02 성장동력산업 노인성 질환 예측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동향, 디지털치료제 지식생산 및 산업 경쟁력 방향 7도토리 국준아
120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상 보안 기술 소개, 양자암호통신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