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포스트 COVID-19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와 韓의 협력방안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44 | |
---|---|---|---|---|---|---|
용량 | 6.93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포스트 COVID-19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와 韓의 협력방안.pdf | 6.9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6-21 |
---|---|
출처 :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51 |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아프리카 코로나 사태와 ICT의 역할
1. 코로나 확산 현황 및 대응책
2. 코로나 확산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
3. 아프리카 ICT 발전 현황 및 전망
4.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의 역할
5. 아프리카에서 ICT 발전의 한계
제3장 아프리카 산업(분야)별 ICT 활용사례
1. 공공행정: 전자정부와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2. 보건의료: e-헬스
3. 농업: 스마트 농업
4. 금융: 모바일 금융
5. 교육: 이러닝
6. 소결
제4장 수요분석
1. 수요분석의 의의와 방법론 검토
2.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아프리카 변화상 분석
3.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의 적용: 아프리카 ICT ODA 수요추정 모델
4.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수요 시나리오 분석
5. 소결
제5장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지원 현황과 평가
1. 한국의 아프리카 ICT 수출입 규모 개관
2.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지원 현황
3.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평가
4. 향후 자원배분 평가
5. 소결
제6장 한국의 대아프리카 ICT 개발협력의 전략적 추진방안
1. 추진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성
2.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ICT의 방향
3. 유망 협력분야 도출 배경
4. 유망 협력분야 및 사업
5. 향후 사업 추진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향후 아프리카 ICT ODA 추진방향
본 연구는 2020년 초에 시작된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이 아프리카 국가 들에 미치고 있는 생활상의 변화를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파악하고 이러 한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의 ICT를 활용한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의 새로운 전략적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행정, 보건의료, 농업, 금융, 교육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한 ICT를 활용하는 경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에 아프리카에 대한 ODA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보이며 이를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한다. 첫째, 국내외 코로나 관련 통계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통계자료 를 활용한다. OECD, IMF, World Bank, WHO, KOICA, ITU, African Union 등 국내외 기관들에서 발간한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둘째, 서적, 논문,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자료 등을 활용한다. 온라인 자료 는 인터넷 조사를 통한 자료 및 유튜브의 동영상 자료 및 아프리카의 신문도 분 석한다.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 주민들의 생활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 한 상황 분석을 위하여 유튜브의 내용을 분석한다. 분석내용은 제4장의 수요예 측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 설정에 반영한다. 셋째, 아프리카 출신 학생들에 대한 서면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한다. 코 로나로 인하여 아프리카 현지 출장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한국에 유학 중인 아프리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조사 및 Zoom을 이용한 인 터뷰를 실시한다. 이는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의 사회·경제적 생활상의 변화를 예측하고, 확인 및 보완하는 데 활용한다. 국문요약 4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넷째,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분석방법,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System Dynamics)을 활용한다.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수요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트윗 자료와 아프리카 인터넷 신문(Africa News)의 신문기사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다. 네트워크 분석결과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모형설정에 활용한 다. 최근에 외국의 연구자들은 사회연결망 분석과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의 결합을 통하여 더욱 정교한 방법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 서는 이러한 시도를 한 연구가 거의 없다. 아울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AHP 분석을 실시한다. 아프리카를 대상으로 한 ICT ODA 사업이나 연구 경험 이 있는 전문가 5인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ICT ODA의 향후 우선 순위 분석 및 그간에 이루어진 사업들에 대한 성과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용 분 석을 실시한다. 아울러, 분야별로 사회·경제적 수요에 바탕을 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정책방향 설정 에 활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아프리카 대륙 국가 54개국을 대상으로 한다. 이 54개 국가들을 공통으로 다루면서도 동시에 이 중에서 한국의 ODA 중점협력대상 국가 인 가나, 모잠비크, 우간다, 에티오피아, 르완다, 탄자니아, 세네갈 등 7개 국가에 대해서 보다 세부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제3기 중점협력국가들이 새로 선정되었다. 새로 선정된 국가들은 이집트, 가나, 르완다, 세네갈, 에티오피아, 우간다, 탄자니아 등으로 모잠비크 대신에 이집트가 새로 선 정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7개 국가를 주요 대상으로 하기로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