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포스트 COVID-19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와 韓의 협력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3
용량 6.93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포스트 COVID-19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와 韓의 협력방안.pdf 6.9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21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351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아프리카 코로나 사태와 ICT의 역할
 1. 코로나 확산 현황 및 대응책 
 2. 코로나 확산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
 3. 아프리카 ICT 발전 현황 및 전망
 4.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의 역할 
 5. 아프리카에서 ICT 발전의 한계

 

제3장 아프리카 산업(분야)별 ICT 활용사례 
 1. 공공행정: 전자정부와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2. 보건의료: e-헬스
 3. 농업: 스마트 농업 
 4. 금융: 모바일 금융
 5. 교육: 이러닝
 6. 소결 

 

제4장 수요분석 
 1. 수요분석의 의의와 방법론 검토 
 2.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아프리카 변화상 분석 
 3.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의 적용: 아프리카 ICT ODA 수요추정 모델 

 4.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수요 시나리오 분석 

 5. 소결 

 

제5장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지원 현황과 평가
 1. 한국의 아프리카 ICT 수출입 규모 개관 
 2.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지원 현황 
 3.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평가 
 4. 향후 자원배분 평가 
 5. 소결 

 

제6장 한국의 대아프리카 ICT 개발협력의 전략적 추진방안 
 1. 추진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성 
 2.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ICT의 방향 
 3. 유망 협력분야 도출 배경
 4. 유망 협력분야 및 사업 
 5. 향후 사업 추진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향후 아프리카 ICT ODA 추진방향 
 


 

본 연구는 2020년 초에 시작된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이 아프리카 국가 들에 미치고 있는 생활상의 변화를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파악하고 이러 한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의 ICT를 활용한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의 새로운 전략적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행정, 보건의료, 농업, 금융, 교육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한 ICT를 활용하는 경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에 아프리카에 대한 ODA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보이며 이를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한다. 첫째, 국내외 코로나 관련 통계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통계자료 를 활용한다. OECD, IMF, World Bank, WHO, KOICA, ITU, African Union 등 국내외 기관들에서 발간한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둘째, 서적, 논문,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자료 등을 활용한다. 온라인 자료 는 인터넷 조사를 통한 자료 및 유튜브의 동영상 자료 및 아프리카의 신문도 분 석한다.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 주민들의 생활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 한 상황 분석을 위하여 유튜브의 내용을 분석한다. 분석내용은 제4장의 수요예 측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 설정에 반영한다. 셋째, 아프리카 출신 학생들에 대한 서면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한다. 코 로나로 인하여 아프리카 현지 출장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한국에 유학 중인 아프리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조사 및 Zoom을 이용한 인 터뷰를 실시한다. 이는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의 사회·경제적 생활상의 변화를 예측하고, 확인 및 보완하는 데 활용한다. 국문요약 4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넷째,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분석방법,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System Dynamics)을 활용한다.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수요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트윗 자료와 아프리카 인터넷 신문(Africa News)의 신문기사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다. 네트워크 분석결과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모형설정에 활용한 다. 최근에 외국의 연구자들은 사회연결망 분석과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의 결합을 통하여 더욱 정교한 방법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 서는 이러한 시도를 한 연구가 거의 없다. 아울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AHP 분석을 실시한다. 아프리카를 대상으로 한 ICT ODA 사업이나 연구 경험 이 있는 전문가 5인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ICT ODA의 향후 우선 순위 분석 및 그간에 이루어진 사업들에 대한 성과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용 분 석을 실시한다. 아울러, 분야별로 사회·경제적 수요에 바탕을 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정책방향 설정 에 활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아프리카 대륙 국가 54개국을 대상으로 한다. 이 54개 국가들을 공통으로 다루면서도 동시에 이 중에서 한국의 ODA 중점협력대상 국가 인 가나, 모잠비크, 우간다, 에티오피아, 르완다, 탄자니아, 세네갈 등 7개 국가에 대해서 보다 세부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제3기 중점협력국가들이 새로 선정되었다. 새로 선정된 국가들은 이집트, 가나, 르완다, 세네갈, 에티오피아, 우간다, 탄자니아 등으로 모잠비크 대신에 이집트가 새로 선 정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7개 국가를 주요 대상으로 하기로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20 성장동력산업 주택인 듯 주택 아닌 주택 같은 오피스텔 1도토리 국준아
1219 성장동력산업 국제원자재가격 상승배경 및 국내경제에 대한 파급영향 점검 1도토리 조정희
1218 성장동력산업 아트테크 활성화에 따른 예술품보험의 필요성 증대 1도토리 국준아
1217 성장동력산업 성과를 만드는 팀의 비밀 심리적 안전감 1도토리 국준아
121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6월-2) 1도토리 조정희
1215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산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214 성장동력산업 금융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라 1도토리 국준아
1213 성장동력산업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 1도토리 조정희
1212 성장동력산업 W-대역 MMIC 저잡음증폭기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11 성장동력산업 홀로그램렌더러-Realistic 고해상도 홀로그램 생성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10 성장동력산업 국내 소재부품산업 현황과 시사점 - 쏠림현상 해소와 핵심 경쟁력 유지가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09 성장동력산업 사회연대기금법안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08 성장동력산업 ‘폐기물 Biz.의 성장’ 제2라운드 돌입 1도토리 국준아
1207 성장동력산업 중국, 반(反) 외국제재법 통과 및 시행 1도토리 조정희
12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시대의 개인투자자: 투자양상과 투자성과 3도토리 조정희
1205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EU)의 디지털 플랫폼 규제 개편과 한국의 통상친화적 제도개선 방향 7도토리 국준아
1204 성장동력산업 스위스 저탄소 경제 발전을 위한 투자와 지원 정책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03 성장동력산업 네덜란드 차세대 태양광 발전 기술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02 성장동력산업 노인성 질환 예측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동향, 디지털치료제 지식생산 및 산업 경쟁력 방향 7도토리 국준아
120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상 보안 기술 소개, 양자암호통신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