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과 韓 기업의 진출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89
용량 2.2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과 韓 기업의 진출방안.pdf 2.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2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204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론
 4. 연구 범위 및 구성 

 

제2장 스타트업 생태계의 동향과 전망 
 1.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 동향 
 2. 국내 스타트업 현황과 특성 
 3. 아프리카 스타트업 현황 
 4. 사회 혁신과 스타트업, 국제개발 

 

제3장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생태계의 현황 및 특징 
1.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현황 및 주요 사례
2. 동아프리카 스타트업과 벤처 캐피탈 
3.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제도와 지원 
4. 소셜 스타트업과 동아프리카 

 

제4장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분석
1. 5대 산업 분야 데이터 마이닝 과정 
2. 동아프리카 농업 페인 포인트 분석 
3. 동아프리카 교육 페인 포인트 분석 
4. 동아프리카 에너지 페인 포인트 분석
5. 동아프리카 보건의료 페인 포인트 분석
6. 동아프리카 물류·교통 페인 포인트 분석 
7. 5대 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투자 동향 

 

제5장 정책제언 및 결론 
1. 한국의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진출 제안 
2. 결론

 


 

스타트업은 성공 확률이 낮은 사업 영역이다. 2019년 현재 세계 스타트업 12개 중 평균 1개만이 생존한다는 통계가 이를 입증한다. 하지만 이런 위험부담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은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벤처 투자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크런치베이스(Crunchbase Projections)는 지난 10년간(2010~19년) 스타트업에 투자된 벤처 캐피탈 총액은 약 1,700조 원(약 1조 5,000억 달러)에 달했고, 2019년 한 해에만 전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에 약 400조 원(2,498억 달러)이 투자되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세계 경제위기가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세계 청년 실업률이 빠르게 증가했다. 각국 정부는 청년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구상했다.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스타트업 지원 및 확대 정책이 도입되었다. 일례로 IPO(Initial Public Offerings)의 연구에 따를면 1977년과 2009년 사이에 스타트업(또는 신생기업)은 매년 약 50만 개의 신규 비즈니스를 만들어 냈고 그 결과 약 200만~3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20 성장동력산업 주택인 듯 주택 아닌 주택 같은 오피스텔 1도토리 국준아
1219 성장동력산업 국제원자재가격 상승배경 및 국내경제에 대한 파급영향 점검 1도토리 조정희
1218 성장동력산업 아트테크 활성화에 따른 예술품보험의 필요성 증대 1도토리 국준아
1217 성장동력산업 성과를 만드는 팀의 비밀 심리적 안전감 1도토리 국준아
121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6월-2) 1도토리 조정희
1215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산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214 성장동력산업 금융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라 1도토리 국준아
1213 성장동력산업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 1도토리 조정희
1212 성장동력산업 W-대역 MMIC 저잡음증폭기 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11 성장동력산업 홀로그램렌더러-Realistic 고해상도 홀로그램 생성기술 1도토리 조정희
1210 성장동력산업 국내 소재부품산업 현황과 시사점 - 쏠림현상 해소와 핵심 경쟁력 유지가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09 성장동력산업 사회연대기금법안 분석 1도토리 조정희
1208 성장동력산업 ‘폐기물 Biz.의 성장’ 제2라운드 돌입 1도토리 국준아
1207 성장동력산업 중국, 반(反) 외국제재법 통과 및 시행 1도토리 조정희
12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시대의 개인투자자: 투자양상과 투자성과 3도토리 조정희
1205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EU)의 디지털 플랫폼 규제 개편과 한국의 통상친화적 제도개선 방향 7도토리 국준아
1204 성장동력산업 스위스 저탄소 경제 발전을 위한 투자와 지원 정책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203 성장동력산업 네덜란드 차세대 태양광 발전 기술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1202 성장동력산업 노인성 질환 예측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동향, 디지털치료제 지식생산 및 산업 경쟁력 방향 7도토리 국준아
120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상 보안 기술 소개, 양자암호통신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