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전망] 도시하수 재이용 농축수 관리의 미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56
용량 411.63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전망] 도시하수 재이용 농축수 관리의 미래.pdf 411.6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요약문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물 재이용이 증가하면서 하수처리수를 한외여과, 역삼투, 고도산화 등으 로 처리하여 재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역삼투 공정은 이온성 물질까지 처리할 수 있는 하수 재이용의 핵심 기술이지만, 처리 후 고농도의 염과 중금속, 영양물질, 미량오염물질을 함유 하는 농축수가 발생한다. 농축수는 하수 재이용에 걸림돌이 되어왔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 다. 본 리포트에서는 농축수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관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 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농축수 관리로 발생할 수 있는 비용-편익 분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 한 분석 방법이 갖는 문제와 농축수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에 대해 서술했다.
 

1. 서론


물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물 부족 지역에서는 지표수나 지하수만으로는 수돗물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수원을 찾기 위한 노력이 수십 년간 이어져왔고, 최근 수 처리 기술의 발달로 도시하수를 처리해 음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도시하수 재이 용은 물이 풍부한 지역에서도 수자원 보호와 안보를 위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1, 2].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고도처리가 필요하다. 이때 이용되는 기술이 정밀여과(micro- filtration; MF) 또는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 – 역삼투(reverse osmosis; RO) – 고도산화(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다. MF 와 UF 는 RO 의 전처리 공정으로 부유물질 콜로이드성 물질, 병원 균을 제거하고, RO 는 용존성 오염물질과 중금속, 화학물질을 처리한다. AOP 는 RO 후에도 존재 하는 미량 유해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데 적용된다. 고도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RO 는 하수처리수 의 용존고형물질(total dissolved solid; TDS)이 높지 않으므로 10~20 bar 정도의 압력을 사용하여 염과 용존성 물질을 제거하고, 투입된 물의 양 중 80~85%가 분리막을 통해 여과되고 나머지 15~20%는 RO 막에서 걸러진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도시하수 재이용 농축수(municipal wastewater reuse concentrate; MWRC)가 된다.
 

RO 회수율 80~85% 정도면 농축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 농도는 RO 로 투입된 농도의 5~6 배 정도가 된다. 일반적으로 RO 농축수의 TDS 농도는 3,000~8,000 mg/L 이고, RO 운영 시 사용되는 약품인 스케일 방지제와 살충제, 그리고 중금속, 영양염류, 미량오염물질 등이 RO 농축수에 고농 도로 존재한다. 하수처리수 재이용에 따라 MWRC 발생량이 증가하여 이들의 관리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리포트에서는 MWRC 관리 방법과 편익에 대해 살펴보고, 비용-편익 분석을 통 해 MWRC 가치의 전망과 숨겨진 위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7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업의 혁신활동에 의한 산업 간 경계 변화 13도토리 오민아
57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한민국 MICE산업의 분석과 시사점 13도토리 오민아
571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디지털 대전환 시대 7도토리 오민아
571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바이오의약품 산업 현황 13도토리 오민아
5715 성장동력산업 [통상전망] 2024년 국내외 통상환경 전망 13도토리 오민아
5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친환경 농생명 기능성 소재 - 바이오플라스틱 11도토리 오민아
5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규모 농업시설 저탄소에너지 기술 개발 11도토리 오민아
571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디지털이 이끄는 바이오 5도토리 오민아
5711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동향]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최근 현황 5도토리 오민아
5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커머스 지각변동 - 어부지리 택배사 7도토리 류지원
57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태양광 - 방향성 전환의 탐색 9도토리 류지원
5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성형 인공지능 - AI 에이전트 시대 9도토리 류지원
57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태양광 발전 원료의 개발 현황과 응용 사례 5도토리 류지원
570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환경적으로 지속이 가능한 연구실을 위한 노력 5도토리 류지원
57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특이점의 시대, 확장과 가속, 균형의 미래기술 13도토리 류지원
5704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국내·외 플랫폼 정부 사례의 유형화를 중심으로 7도토리 박민혁
57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민식이법 제정에 대한 연구 7도토리 박민혁
5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고령층의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실증 분석 7도토리 박민혁
57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기술표준 정책영역 발굴 및 우선순위 도출 7도토리 박민혁
5700 성장동력산업 [연구동향] 문헌 분석을 통한 정보보안 감사 분야의 국내 및 국제 연구동향 분석 7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