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개황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8,516 천 ㎢ 2.1억 명 (2021f) 대통령중심제 실리주의 GDP 1인당GDP 통화단위 환율(U$기준) 16,458억 달러 (2021f) 7,741달러 (2021f) Real (R$) 5.27 (2021f) □ 브라질은 남미 대륙 중동부에 위치(남미 대륙의 47% 차지)하여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 페루,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등 9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인구 세계 6위 및 GDP 세계 12위의 경제규모를 갖추고 있음. □ 원유, 철광석 등 풍부한 천연자원 보유량을 기반으로 원자재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아 원자재 국제가격 변 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경제구조를 지니고 있음. □ 2019년 1월 출범한 보우소나루 행정부는 임기 초반 연금개혁안을 통과시키는 등 친시장적인 정책 기조를 이 어갔으나, 최근 코로나19 부실 대응, 사법부와의 갈등 심화 등에 따른 저조한 지지율에 고전하고 있음. □ 5G 사업 추진을 앞두고 미·중 양국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으며,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 문제를 둘러싸고 유 럽연합(EU) 등 국제사회와의 마찰이 지속되는 등 대외관계 측면에서 난제에 직면해 있음. 우리나라와의 관계 국교수립 1959. 10. 31. 수교 (북한과는 2001. 3. 9. 수교) 주요협정 무역협정('63), 문화협정('67), 이중과세방지협약('91), 과학기술협력협정('92), 항공협정('95), 관 광협력협정('97), 범죄인인도조약('02), 사증면제협정('02), 원자력의평화적이용협력협정('05), 형사사법공조조약('06), 국방협력협정('08), 사회보장협정('15) 교역규모 (단위 : 천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주요품목 수 출 4,883,693 4,809,207 3,943,638 반도체, 자동차부품, 원동기 및 펌프 수 입 3,908,060 4,295,597 4,237,366 식물성물질, 철광, 육류 해외직접투자현황(2021. 6월말 누계, 총투자 기준) 305건, 9,211,468천 달러 2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경제동향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브라질 Federative Republic of Brazil 국내경제 (단위: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f 경 제 성 장 률 1.3 1.8 1.4 -4.1 5.2 소비자물가상승률 3.4 3.7 3.7 3.2 7.7 재정수지/GDP -7.9 -7.1 -5.9 -13.4 -6.2 자료: IMF, EIU 중국·미국의 경기 회복 등으로 인한 플러스 경제성장이 전망되나 위험요인 상존 Ÿ 브라질 경제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활동 둔화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4.1%의 마이너스 성 장을 시현하였으며, 세계 GDP 순위는 2019년 9위에서 2020년 12위로 하락함. 다만, 보우소나루 행정부가 사회 적 거리두기와 의무 자가격리 조치보다 거시경제 활성화에 더 주력한 결과, 중환자 병상 부족 등의 극심한 공 중보건 위기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에 따른 충격이 여타 중남미 국가들에 비해 크지 않았음. ‑ 중남미 주요 국가 2020년 경제성장률(IMF) : 브라질 –4.1%, 콜롬비아 –6.8%, 멕시코 –8.3%, 아르헨티나 –9.9% Ÿ 2021년에는 주요 교역국인 중국과 미국의 경기 회복, 글로벌 원자재 호황 등의 영향으로 5.2%의 플러스 경제성장 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다만 높은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이에 대응한 기준금리 인상 기조, 가뭄 지속, 정치적 불 확실성 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함. ‑ 브라질 국립통계원(IBGE) 및 EIU(2021. 9월)에 따르면, 2021년 2분기 브라질 GDP는 전분기 대비 0.1% 감소하여 EIU의 예상치(0.3% 증가)를 하회함. 이는 농업 부문에 대한 가뭄의 부정적 파급효과, 인플레이션 가속화, 공급 혼란으로 인한 제조업 생산 차질, 정치적·재정적 위험에 따른 투자 위축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