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필리핀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5
용량 534.2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필리핀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pdf 534.2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일반개황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300천 ㎢ 110.4백만명 (2021f) 대통령 중심제 실리적 외교정책 GDP 1인당GDP 통화단위 환율(U$기준) 3,857억 달러 (2021f) 3,492 달러 (2021f) Peso 49.70 (2021f) Ÿ 필리핀은 태평양상의 타이완과 보르네오섬 사이에 위치한 7,107개의 섬으로 구성된 도서국으로, 1946년 7월 미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대통령중심제와 양원제의 정치형태를 취하고 있음. Ÿ 해외근로자 송금과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산업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6%대의 높 은 경제성장을 시현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발발로 산업 전반이 침체하여 –9.6%의 역성장을 기록함. 이후 2021년 2분기부터 점차 경기가 회복되고 있지만 연내 빠른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 Ÿ 내년 5월로 예정된 차기 대선은 두테르테 대통령의 부통령 출마 번복과 대선 후보 지지율 1위인 사라 두테르테 다바오 시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으로 혼전 양상을 보임. Ÿ 두테르테 대통령은 집권 초반 전통적인 우방국이었던 미국과 거리를 두면서 대규모 경제적 원조를 약속한 중국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중국의 투자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남 중국해 갈등에 대한 국내의 비판적 여론이 거세지자 최근 친중에서 친미 노선으로 선회하는 모습을 보임. 우리나라와의 관계 국교수립 1949. 3. 3 수교 (북한과는 2000. 7. 12 수교) 주요협정 소포우편협정('61), 항공운수협정('69), 외교관,관용사증면제각서교환('70), 문화협정('73), 무역 협정('78), 경제기술협력협정('85), 이중과세방지협약('86), 과학기술협력협정('86), 범죄인인도 조약('96), 투자증진보호협정('96), 대외경제협력기금차관협정('03), 형사사법공조조약('08), 무 상원조기본협정('14), 군사비밀정보보호 협정('16) 교역규모 (단위 : 천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주요품목 수 출 12,037,254 8,365,340 7,126,437 반도체, 석유제품, 동제품, 자동차, 플라스틱제품 등 수 입 3,569,396 3,658,008 3,085,957 반도체, 산업용 전자기기, 동제품, 수동부품, 컴퓨터 등 해외직접투자현황(2020년 10월 말 누계, 총투자 기준) 1,784건, 4,690,211천 달러 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경제동향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필리핀 Republic of the Philippines 국내경제 (단위: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경 제 성 장 률 6.9 6.3 6.1 -9.6 3.2 소비자물가상승률 2.9 5.2 2.5 2.6 4.3 재정수지/GDP -0.4 -1.6 -1.7 -5.7 -7.6 자료: IMF, EIU 코로나19로 인한 최악의 경기침체를 벗어나 완만한 경기 회복 예상 Ÿ 필리핀 경제는 지난 10년 간 해외근로자 송금, 비즈니스 업무대행(Business Process Outsourcing, BPO) * , 관광 산업 성장에 힘입은 민간소비 증가로 연평균 6%대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봉쇄조치에 따른 민간소비 급감으로 –9.6%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여 아세안 국가 중 최저 수준에 그쳤음. *기업이 핵심 업무에 집중하여 최고의 역량을 낼 수 있도록 비핵심 업무를 제3의 서비스업체에 하도급하는 아웃 소싱 전문 산업을 지칭함. 대표적인 사업으로 콜센터, IT 서비스 지원, 온라인 교육 등이 있음. ‑ 한편, 해외근로자 송금은 2020년 전 세계적인 일자리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256억 달러 수준으로 견조세를 유지함. Ÿ 동남아에서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필리핀 경제는 지난 5분기(‘20년 1 분기~’21년 1분기) 동안 연속해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지만, 금년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1.8%의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경기가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음. 다만, 높은 신규 확진자 수와 낮 은 백신 접종률로 인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의 경기 회복은 2023년에서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코로나19 발발 이후 분기별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 추이(1980~2025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119 성장동력산업 최근 우리나라 수출 호조의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18 성장동력산업 서비스산업 세제지원 제도의 유형과 추이 1도토리 조정희
1117 성장동력산업 2021년 3/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1도토리 조정희
1116 성장동력산업 터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5 성장동력산업 캄보디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4 성장동력산업 브라질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3 성장동력산업 독일 소재 프로그램 지원 현황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필리핀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1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행정부, 공급망 중단 문제 해결을 위한 행정명령 및 관련 보고서 발표 1도토리 조정희
1110 성장동력산업 아랍에미리트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9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8 성장동력산업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7 성장동력산업 그리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6 성장동력산업 솔로몬군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5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2021년도 경제·재정 정책방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4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103 성장동력산업 최근 가상자산 규제 움직임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2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증권토큰발행(STO)에 관한 고찰 1도토리 조정희
1101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독립성 침해가 터키 경제에 미친 악영향 1도토리 국준아
1100 성장동력산업 펀드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수탁서비스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