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아랍에미리트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3
용량 620.7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아랍에미리트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pdf 620.7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일반개황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84천 ㎢ 942만명 (2021f) 연방 대통령 중심제 친서방 실리추구 GDP 1인당GDP 통화단위 환율(U$기준) 4,102억 달러 (2021f) 43,538 달러 the Emirati Dirham (AED) 3.67 Ÿ 걸프만 연안에 위치한 아랍에미리트(UAE)는 아부다비(Abu Dhabi), 두바이(Dubai), 아즈만(Ajman), 푸자이라흐(Fujairah), 라스 알-하이마흐(Ras al- Khaimah), 샤르자흐(Sharjah), 움 알-카이와인(Umm al-Qaiwain)의 7개 토후국(emirates)으로 구성된 연방 군주국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및 오만과 접경 하고 있으며 이란과는 페르시아 만을 사이에 두고 있음. Ÿ 중동 산유국 중 비석유 부문으로의 산업 다각화에서 상대적으로 앞서 나가고 있으며, UAE 정부는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 개혁을 적극 시행하는 한편 향후 50년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 하기 위해 2021년 9월 ‘50개 프로젝트’ 및 세부 프로젝트 26개를 공개하였음. Ÿ 2020년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여파와 국제유가 약세 및 산유량 감소로 –6.1%의 역성장에 그쳤으나 2021년에는 두바이 엑스포 개막, 높은 코로나 백신 접종률과 이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세,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2% 성장을 회복하고,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Ÿ 아부다비의 여타 토후국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함께 두바이와의 적절한 권력 배분으로 정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국내 정치적 리스크는 낮으나, 중동 지역의 복잡한 역학관계(특히 이란과의 관계) 및 주변국의 내전 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 우리나라와의 관계 국교수립 1980. 6. 18 수교 (북한과는 미수교) 주요협정 투자증진∙보호협정('04), 이중과세방지협약('05), 군사협력협정('07), 경제·무역·기술협력협정('08), 문화협력협정('08), 원자력의평화적이용협력협정('10), 항공협정('10), 세관협력협정('15), 사증면제 양해각서('16), 범죄인인도조약('17), 형사사법공조조약('17), 이중과세방지·탈세·회피예방협약('20) 교역규모 (단위 : 천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주요품목 수 출 4,588,472 3,469,772 3,653,611 자동차부품, 기호식품, 무기류 수 입 9,287,378 8,991,147 5,692,741 원유, 석유제품, 알루미늄 해외직접투자현황(2021년 6월 말 누계, 총 투자기준) 485건, 2,648,034천 달러 2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정량평가 경제동향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아랍에미리트 United Arab Emirates 국내경제 (단위: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경 제 성 장 률 2.4 1.2 3.4 -6.1 2.2 소비자물가상승률 2.0 3.1 -1.9 -2.1 2.0 재정수지/GDP -1.7 1.9 0.6 -5.6 -0.5 자료: IMF. 비석유 부문의 안정적 성장 지속 Ÿ UAE는 중동 산유국 중 비석유 부문으로의 산업 다각화에서 상대적으로 앞서 나가고 있으며,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2014년 하반기부터의 석유·가스 부문의 부진을 비석유 부문의 성장이 상쇄하여 국가경제의 석유 산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 및 그로 인한 구조적 취약성을 경감시켰음. 연도별 GDP 규모 및 산업별 구성 현황 단위: 억 디르함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GDP 14,805 13,153 13,112 14,161 15,506 15,322 13,179 석유·가스 부문 5,052 2,870 2,531 2,900 4,029 3,474 2,271 비석유 부문 9,754 10,283 10,581 11,262 11,477 11,848 10,908 도소매업 무역 및 자동차∙오토바이 수리업 1,558 1,610 1,705 1,883 1,905 2,024 1,787 금융 및 보험업 1,155 1,252 1,316 1,339 1,322 1,358 1,298 제조업 1,149 1,162 1,178 1,296 1,354 1,346 1,276 건설업 1,223 1,277 1,238 1,278 1,325 1,374 1,227 공공행정∙방위산업 및 사회보장 804 837 887 994 1,049 1,049 1,024 자료: UAE 연방통계청. 2020년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6.1%의 역성장 시현 Ÿ 2020년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국제유가 약세 및 OPEC+ 감산 합의에 따른 산유량 감소로 석유 및 비석유 부문 모두 크게 위축되며 –6.1%의 역성장을 시현하였음. ‑ 비석유 부문의 경우, 두바이 경제의 주요 산업이자 세계경기에 민감한 무역업, 물류업, 관광업* 등의 타격이 특히 컸음. * Moody’s에 따르면 두바이 방문 관광객 수는 2019년 16.7백만 명에서 2020년 5.5백만 명으로 급감 한 것으로 집계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119 성장동력산업 최근 우리나라 수출 호조의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18 성장동력산업 서비스산업 세제지원 제도의 유형과 추이 1도토리 조정희
1117 성장동력산업 2021년 3/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1도토리 조정희
1116 성장동력산업 터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5 성장동력산업 캄보디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4 성장동력산업 브라질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3 성장동력산업 독일 소재 프로그램 지원 현황 1도토리 조정희
1112 성장동력산업 필리핀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1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행정부, 공급망 중단 문제 해결을 위한 행정명령 및 관련 보고서 발표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아랍에미리트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9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8 성장동력산업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7 성장동력산업 그리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6 성장동력산업 솔로몬군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5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2021년도 경제·재정 정책방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4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103 성장동력산업 최근 가상자산 규제 움직임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2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증권토큰발행(STO)에 관한 고찰 1도토리 조정희
1101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독립성 침해가 터키 경제에 미친 악영향 1도토리 국준아
1100 성장동력산업 펀드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수탁서비스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